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흉황기, 『淸狂子集』에 나타난 朴士亨의 향촌안정책과 후학진흥 (A period of bad harvest of the 17th century, PARK Sa hyung’s request for regional stabilization and the nurture of disciples revealed in “Cheonggwangja-jip”)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12
44P 미리보기
17세기 흉황기, 『淸狂子集』에 나타난 朴士亨의 향촌안정책과 후학진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술 / 9호 / 41 ~ 84페이지
    · 저자명 : 문재환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 소빙기 현상이 지속되고 있던 시기, 전라도 보성의 박사형이 향촌안정책과 인재양성책을 논하고 실천할 수 있었던 구심점은 무엇에 있었는지를 그의 문집 『청광자집』을 통해 지방사적 관점에서살펴보았다.
    17세기 후반의 조선은 경신[1670~1671]과 을병[1695~1699]의 대기근으로 생민들이 가혹한 현실에 직면해 있었다. 즉 각기 100여만 명에 달하는 사망자를 내면서 급격한 인구 감소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결국에는농업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왔고, 경제에도 큰 타격을 주어 사회 구조 및 질서를 붕괴시킬 가능성이 커져 있었다.
    이와 때를 같이 한 박사형(1635~1706)은 1658년(효종 9) 창궐한 역병과 학질로부인을 비롯해 집안의 일문삼대(一門三代), 즉 조모·부모·형이 3개월 사이에 연이어사망하였다. 자신 또한 폐질로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오랫동안 고생하였다. 또한1682년(숙종 8)부터 1687년(숙종 13)까지의 보성에서는 해마다 진휼을 해야할 만큼혹독한 흉년과 기근이 반복되었다. 특히 병인·정묘년[1686년~1687년]에만 해도 수재, 한재, 우박, 구풍, 악풍의 다섯 가지 천변재이가 한꺼번에 들이닥친 피해는 더욱심해 논과 밭농사를 90% 망쳐버렸다.
    이에 1686년(숙종 12) 수령에게 「오재상서(五灾上書)」를 올려 국왕이 수전과 한전에 특별급재(特別給災) 실시를 명하여 조세 감면을 받기를 원하였다. 그 무렵 부민(富 民)은 식리를 획책하며 시세 차익을 노려 보성에서 무곡(貿穀)한 곡물과 작물을 상업과 교통이 발달해 있던 낙안 벌교 등지로 반출하고 있었다. 이 까닭에 1687년(숙종13)에 재차 「흉년상서(凶年上書)」를 올려 부민이 무곡할 곡물의 반출을 금지시키는 방곡령(防穀令)을 청원하기도 하였다. 이는 곧 경내 곡물의 외부유출을 억제해 읍민들이식량 수급과 공급망을 확보케 하여 아사자를 막으려는 향촌안정책의 모색이었다.
    박사형이 실천한 또 하나의 향촌안정책으로서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두고 있었다.
    그의 후학진흥은 1663년(현종 4) 29세 때 흥양에서 처음 강학당을 열어 문인을 받고나서부터 40여 년간 계속되었다. 그러나 문인들을 가르침에 있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을 거치면서 무예(武藝)만을 숭상하는 풍속이나 문학을 좋아하지 않는 향풍, 다년간의 흉황기는 그가 학문을 진작시키는 데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였다. 후학진흥은 한층 더 어려워져만 갔고, 문하생들의 학업에까지 그 영향이 미치어 폐학지경(廢學之境)으로 내몰렸다. 그러므로 관찰사에게 「서당상서(書堂上書)」(1696년, 숙종22)를 올려 서량(書粮)과 특별제급(特別題給)을 호소하는 등 극한 속에서도 국시(國 是)를 부축하여 국가를 지켜낼 선비 양성은 절대 중단하지 않았다. 문집의 「유사(遺 事)」를 보면 수기치인(修己治人)에 뜻을 두고도 관직에 나아가지 않는 선비는 후학을기르는 것이 학자의 본분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것이 성리학자로서 살아가는 본연의자세라고 생각하였다. 때문에 폐학지경에 처한 문인들에게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권면하며 학문진흥, 곧 흥학에 진력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의 문하에서 수학한 문인들은 보성·흥양·낙안·순천·장흥·나주, 그리고 멀게는 한성 등 다양한 지역에서 모여들었으며, 특히 24개 성씨 92명의 문하생가운데 과거 합격자로 무과에 2명, 사마시에 생원 2명·진사 2명을 배출하여 6.52%의합격률을 보였다. 이 밖에도 대다수의 문인들은 박만당처럼 생원시에 합격하거나 양징과 같이 강학당을 설립하여 학도들을 가르치거나 송일복처럼 지역의 문회(文會)에참여하여 학문구도(學問求道)의 길을 걸으며 학문과 정치·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in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 Little Ice Age continued, in the period of five disasters, years of bad harvest, famine, infectious diseases, and starvation in Boseong, Jeolla-do, the anthology of the local scholar PARK Sa-hyung(朴士亨, 1635~1706), the author of “Cheonggwangja-jip(淸狂子集)”, contains claiming the stability of local villages and the nurture of disciples.
    Therefore, through this anthology, we looked at what was the center of his efforts to help the starving people and raise disciples as a cas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history.
    In the late 17th century, Joseon faced harsh realities due to the great famine of 1670-1671 and 1695-1699. In other words, it caused a rapid decrease in population by killing as many as 1 million people. In the end, it brought about a decreas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 possibility of destroying social structure and order was increased by causing a big blow to the economy.
    At the same time as this, PARK Sa-hyung local scholar was born in the village Boseong-Eup Jubongri. The plague, which broke out in 1658, killed his wife, his grandmother, mother, father, and eldest brother in three months. He also suffered for a long time by repeating improvement and deterioration due to lung disease. In addition, in Boseong from 1682 to 1687, severe famines were repeated every year to the extent that they had to rescue the people. In particular, from 1686 to 1687 alone, five disasters struck at once and the damage was even more severe, ruining 90% of rice fields and field farming.
    Therefore, in 1686, PARK Sa-hyung posted ‘Ojaesangseo(五灾上書)’ at the government office, and wanted the king to reduce taxes on rice paddies and fields. At that time, the wealthy were planning market profits and moving grains and crops produced in Boseong to Nakan, where commerce and transportation were developed. For this reason, in 1687, he again posted the ‘Fungnyeonsangseo(凶年上書)’, petitioning for ‘Banggokryeong(防穀令)’, which prohibits the unauthorized movement of grains sold by the wealthy. This was the search for rural stability to prevent the people from dying by securing food supply and supply chains by suppressing the outflow of grains from the jurisdiction.
    Another policy urged by PARK Sa-hyung was aimed at fostering talent. His lectures continued for more than 40 years after he first opened a lecture hall in Heungyang in 1663 at the age of 29. However, through the war of ‘Imjinwaeran(壬辰倭亂)’ and ‘Byeongjahoran(丙子胡亂)’ in teaching literature, Hyangpung(鄕風), who does not like literature, and years of bad harvest and famine served as a major obstacle to his academic activation.
    The cultivation of disciples became more difficult. Therefore, in 1696, he appealed to the governor of Jeolla-do to supply grain specially by posting ‘Seodangsangseo(書堂上書)’. According to the collection’s ‘Yusa(遺事)’, it is said that if you do not intend to become a bureaucrat, it is the attitude of a scholar to raise students. Therefore, he did his best to promote his studies, encouraging disciples who are in danger of stopping studying not to give up their studies.
    As a result, the students who studied under his academy were disciples from various regions. In particular, 92 disciples from 24 surnames were actively participating in academic,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as children of families who had moved to Boseong, Heungyang, Nakan, Suncheon, Jangheung, and Naju from the early 15th century to the late 16th century when the Neo-Confucian order took root. For example, he actively participated in social activities by passing the past examination test like his student PARK Man-dang, establishing a lecture hall like YANG Jing to teach students, or participating in local ‘a literary gathering(文會)’ like S0NG Il-b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