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신수필』 서문, 청나라 중화론을 위한 학문론 (A study of The preface to 『Ilshinshupil(馹汛隨筆)』 in 『Yeolha-ilgi(熱河日記, the diary of a travel to Beijing and Chengde)』 of Yeonam Park Jiwon(燕巖 朴趾源, 1737∼1805))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9
25P 미리보기
『일신수필』 서문, 청나라 중화론을 위한 학문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63호 / 157 ~ 181페이지
    · 저자명 : 이현식

    초록

    청나라의 볼거리는 사행단의 한담거리였다. 연암은 이것을 청나라 정체성에 관한 문제로 재해석했다. 『일신수필』에는 이에 관한 논의가 많은데, 그 중 서문은 청나라 정체성을 博文約禮의 가르침에 따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당시 청나라 정체성은 춘추대의의 시각에서 이해되었다. 그러나 연암은 이런 시각을 비판했다. 하지만 연암의 비판은 춘추대의 자체나 공자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청나라에 대해 춘추대의를 적용하려는 태도에 대한 비판이었다.
    춘추대의 적용론은 세 가지 방식으로 부정되었다. 춘추대의가 춘추 시대에 국한된다는 주장, 춘추대의와 무지를 대립시킨 논리 구조, 청나라 정체성을 학문적으로 논하려는 사람들에 대한 비판이 자기 자신에 대한 비판이 된 역설적 상황이 그것이다.
    그는 사람들이 춘추대의를 신봉하고 추종하는 이유가 선입견과 무지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문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공자의 학문, 석가모니의 학문, 서양 천문학 중 공자의 학문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연암은, 석가모니의 학문은 현실 부정의 선험적 인식 유형이요, 서양인의 학문은 현실 무지의 상황적 인식 유형이고, 공자의 학문은 경험과 검증의 경험적 인식 유형이라고 판단했다. 博文과 約禮이 그 근거였다.
    『일신수필』 서문의 경험적 인식론은 청나라 중화론의 학문론이었다. 이 서문은 열하일기 내용 중 청나라에 대해 춘추대의의 적용을 최초로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경험적 인식론의 근거 역시 공자의 가르침에서 찾았다. 이것은 『일신수필』 서문의 가장 큰 의의다.

    영어초록

    「The preface to 『Ilshinshupil(馹汛隨筆)』 is an article of 『Yeolha-ilgi』 ofYeonam Park Jiwon(燕巖 朴趾源, 1737∼1805)' writing, in which he arguedabout the method how the great thing of Qing dynasty could be realized.
    The conversations about the great thing of Qing dynasty among Chosunenvoys were gossips by origin. But Park Jiwon put a reinterpretation onthem into the conversations about the cultural or ethnic identity of Qingdynasty. He regarded them as showing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orethnic identity of Qing dynasty.
    He thought that the envoys did not acknowledge that the identity of Qingdynasty has been changed into the Sinic civilization, because they were possessedby preconceptions about and ignorance of Qing dynasty. The doctrine that Qingdynasty had roots in barbarians was one of negative preconceptions, enforcingthem to believe that the identity of Qing dynasty was barbarism. He criticized thedoctrine. He refused to regard the doctrine as universal principles covering Qingdynasty Period, because it came from 『Chunqiu Zuozhuan(春秋左傳)』, a Chineseclassic covering the "Chunqiu Period" from 722 to 468 B.C..
    His alternative proposal was scholarly approach. He analyzed theEnlightenment of Confucius, Buddha, and European astronomers. And he foundthat the Buddha’s Enlightenment was a type of preconception; European astronomer, a type of ignorance. He realized that the principle of Confucius’Enlightenment was the very method to make us to found and acknowledge theidentity of Qing dynasty. The principle of Confucius’ Enlightenment was thebroad learning and proper conduct(博文約禮).
    The principle of broad learning and proper conduct implied experience andverification. Direct experienceand Direct verification get people to acknowledge thereality that Qing dynasty has changed into the Sinic civilization. This means that if a personhad followed the principle of Confucius’ Enlightenment, he would accept the fact that Qingdynasty has become civilized, And this also means that the principle of the broad learningand proper conduct, not the doctrine of honoring the Chinese race and driving off thebarbarians, had to be chosen to understand the identity of Qing dynasty correctly.
    The doctrines that Qing dynasty has change into the Sinic civilizationrequires a paradigm shift in the identity of Qing dynasty. The prefaceto 『Ilshinshupil(馹汛隨筆)』 is his first argument in 『Yeolha-ilgi』 that Qingdynasty has change into the Sinic civilization, and that the doctrine ofhonoring the Chinese race and driving off the barbarians might not beadopted for Qing dynasty.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e preface to 『Ilshinshupil(馹汛隨筆)』.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2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