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近齋 朴胤源의 喪禮觀 小考 -『近齋禮說』 「喪禮」를 중심으로- (Restoring Park Yun-won’s Theory on Funeral Rites : Focusing on Geunjae-lishou [近齋禮說])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12
42P 미리보기
近齋 朴胤源의 喪禮觀 小考 -『近齋禮說』 「喪禮」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32권 / 277 ~ 318페이지
    · 저자명 : 이영준

    초록

    본고는 近齋 朴胤源(1734~1799)의 손자 朴雲壽와 질손 朴岐壽가 편찬한 『近齋禮說』의 「喪禮」를 통하여 근재의 喪禮에 대한 인식ㆍ태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冠婚喪祭禮는 家禮의 總體라고 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도 상례는 禮學家들이 비교적 많은 관심을 가지고 硏鑽을 가하였는바, 이는 상례에 관한 문헌의 수량이 월등히 많은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근재의 예설 역시 그렇다고 하겠다.
    근재는 상례에 있어서 朱子의 『家禮』 및 申義慶이 쓰고 沙溪 金長生이 교정ㆍ부연한 『喪禮備要』의 내용을 충실히 계승하려고 하였다. 이는 특히 尤庵 宋時烈의 태도를 이어받아 견지한 것이다. 아울러 예법을 적용할 때에 주요 문헌의 예설이 서로 충돌할 경우에는 ‘禮經’이라 할 수 있는 『儀禮』, 즉 古禮를 준거로 삼았다. 또한 俗禮를 무조건 비난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고례를 기준으로 삼아 속례의 잘못된 부분을 지적하기도 하고, 타당한 부분을 인정 내지 수용하기도 하는 비판적 태도를 견지하였다.
    喪事에 관한 근재의 예설은 여느 예학가들처럼 實例를 위주한 것이 상당수를 차지하는데, 禮의 원리ㆍ원칙에 부합하는 義理的 측면과 人情에 가까운 實情的 측면을 함께 헤아려서 ‘常’과 ‘變’을 折衷해 處變하였다. 즉 상례의 적용에 있어서 근재는 원칙인 ‘經’을 우선시하고 아울러 實情까지 참작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처변의 禮 -變禮- 에 관한 연구를 발전시켰다. 근재는 상례를 연찬함에 있어서 物名 및 字義에 대해 經傳 및 字書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아울러 考證을 가하였다.
    근재의 제자인 梅山 洪直弼도 역시 이러한 태도를 보인다. 상례에 관한 매산의 예설에서도 원칙적인 예법을 고수하는 가운데에 인정을 참작하여 ‘變通’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近齋禮說』 이후에 『梅山禮說』, 『全齋禮說』, 『艮齋禮說』이 편찬되었는바, 근재의 예설은 18, 19세기까지 이어지는 洛論系의 예설에 큰 영향을 끼쳤다. 향후 낙론계 예설서에 대하여 관혼상제 등 各論的 연구를 진행하고, 아울러 다른 계열의 예설과 비교함으로써 그 특징을 규명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tries to restore theory on funeral rites of Geunjae Park Yun-won, a Neo-Confucian scholar in late Chosŏn Korea, through his writings titled Sangli [喪禮] collected in Geunjae-lishou [近齋禮說], editied by his grandson Park Unsu (朴雲壽, 1792~1841) and grandnephew Park Gisu (朴岐壽, 1774~1845).
    Among the five major domestic li [冠婚喪祭禮], Sangli [喪禮], or funeral rites, were center of discussion amongst high-profile Confucian philologists, and thus treatise on sangli [喪禮] are much frequently found than those dealing with other kinds of domestic li. Park was also the one who showed great interest in sangli.
    Following what was written in Zhu Xi’s Jia-li [家禮] and Shin Ui-gyeong[申義慶]’s Sangnyebiyo [喪禮備要] with Kim Jang-saeng[金長生]’s revision was Geunjae’s main position, succeeding Song Si-yeol [宋時烈]. He had his base on old li [古禮] expressed in the book of Yi-li [儀禮] when disagreement among major references occurred. He also critically accepted modified li of his time [俗禮] in the basis of old li.
    When discussing sangli, Park preferred to mention specific cases, following his precedents’ approach. He made his argument in two aspects: the ultimate and unchangeable principle of li [常] and its specific application considering practical conditions and human emotion [變]. Both sides should be contemplated when practicing sangli. His approach promoted study on bianli [變禮], variations of li practiced in specific situations. Above this, Geunjae also valued philological and historical approach on various references to perform sangli.
    One of his famous disciples, Hong Jik-pil [洪直弼] inherited Park’s theory of bianli, centering principle but considering conditions. The fact that major treatise on the subject like Maesan-yeseol [梅山禮說], Jeonjae-yeseol [全齋禮說] and Ganjae-yeseol [艮齋禮說] followed Park’s Geunjae-lishou shows his great influence on Holon[洛論]’s theory of li. Other characteristics of Geunjae’s theory would be revealed when compared to that of Naknon or other Neo-Confucian schoo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과 해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