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 연구 -김춘광, 박로아의 희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Popular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in the Era of Liber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1.08
40P 미리보기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 연구 -김춘광, 박로아의 희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44호 / 65 ~ 104페이지
    · 저자명 : 전지니

    초록

    해방 후 이념극은 식민지 시기 국민연극과 마찬가지로 국민 동원과 계몽을 위한 프로파간다로 기능했으며, 신파극과의 차별화를 주장하지만 그 안에 대중성 확보를 위한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내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겹쳐진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해방기의 흥행극으로, 그 중에서도 역사소재 대중극을 살펴보고자 한다. 해방기에는 역사소재 연극이 양적으로 활발하게 유통되는데, 이제 ‘망국사’가 아닌 ‘항쟁사’를 다룬 연극들이 봇물을 이루면서 식민지 시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를 소환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대중극작가 김춘광과 좌익극작가 박로아를 주목하는데, 흥행과 대중화 전략이라는 서로 다른 목적에서 출발했지만, 대중에게 소구하기 위해 오락적 요소를 적극 활용했던 두 작가의 연극을 통해 당대 역사소재 대중극의 특징을 짚어내고자 한다.
    3장에서는 소재 취택 양상을, 4장에서는 역사의 재구성 양상을 지적할 것인데, 이를 통해 해방기 역사소재 대중극의 특성을 가늠해 본다. 내용적 측면에서 해방기 역사소재극은 일제 말기 부정되었던 조선시대를 소환되고, 항쟁사를 주로 극화한다. 국민연극이 형상화했던 망국의 역사를 지나 영광스러운 항쟁의 역사를 채택함으로써 식민지 과거를 상쇄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두 작가의 역사소재극에서는 경우에 따라 사료에 대한 강박에서 완전히 벗어나 대중의 취향에 부합하여 역사가 재구성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애정과 웃음 코드를 전면에 배치하고 권선징악으로 마무리짓는 결말을 통해 흥미본위로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곧 김춘광과 박로아의 역사소재 연극은 민족 코드와 멜로드라마적 장치들의 효과적인 활용으로 흥행성을 갖게 됐으며, 해방기 극장에서 반복적으로 상연될 수 있었다.
    해방공간에서 대중의 향수를 자극하는 역사소재는 흥행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었는데, 대중의 취향을 고려한 역사물에 대한 평단의 평가는 부정적이었고, 대중의 저급한 취향 역시 문제시됐다. 그러나 대중극에서 예술성이 결여되는 지점을 지적해내기 보다는, 당대 관객에게 소구할 수 있었던 측면들에 집중하는 것이 오늘날 생산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텍스트 분석에 치우쳐 해방기 관객의 욕망과 당대 연극 유통 양상을 제대로 해명해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당시 흥행했던 텍스트를 꼼꼼하게 살펴봄으로써, 역으로 대중들이 보고자 했던 연극의 형태를 유추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당대 역사소재 대중극은 극 구성이나 완결성 면에서 여실히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에 대한 자유로운 상상력 및 오락적 장치들의 능수능란한 활용으로 인해 해방기 각광받던 오락물로서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lay in the era of liberation started to put an end of the play in the colonial period. However, melodramatic elements in the propaganda is still ongoing. Melodramatic elements were used to ensure the popularity of the play in the era of liberation, and this thesis focuses on the historical Drama in the era of liberation. Playwrights chose historical topic which are familiar with historical materials to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audience. This study analyzes the play of Kim, Chun-Gwang and Park, No-ah who appealed to the public because of more active entertaining elements than historical research on the history. By analyzing their works, this thesis investigates aesthetic aspects of the public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which has been devalued.
    In the main body, we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to point out the pattern of choosing materials and reconstitution of history which were shown in the play of two playwrights. Chapter 3 examines the aspects patriotic heroes in the Yi Dynasty or colonial-era were recalled to instill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public in the era of liberation. Both of them tried to inspire pride to the audience to dramatize the history of resistance. We have to note that Kim, Chun-gwang, popular drama writer, tried to reproduce realistic representation. And, Park, No-ah, left-wing writer who criticized shinpa drama(新派劇), tried to pursue interest based on spectacle. Chapter 4 examines the pattern of history which were reconstituted based on commercial success. New history was realized on the play of Kim and Park to feed off the popularity without having obsession to history.
    Therefore, the plays written by Kim and Park could achieve popularity due to national code and melodramatic elements despite of unfavorable evaluation by critics. It reveals obvious limitations in terms of contents and completeness, however imagination about history and practical use about entertainment elements could meet contemporary desire of audiences. It is possible to point out the aesthetics of drama on the basis of history through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