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朴章鉉의 근대사서술 -『海東春秋』를 중심으로 (Description of Korea's modern history by Park Jang Hyun in the 1930s–focused on 『Hae dong chun ch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5.06
30P 미리보기
1930년대 朴章鉉의 근대사서술 -『海東春秋』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4호 / 413 ~ 442페이지
    · 저자명 : 박환

    초록

    박장현은 근대사서술에 있어서 국권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는 허위 등 의병, 안중근 등 의열투쟁가, 홍범식 등 자결 순국한 인물들을 역사의 주인공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박장현의 근대사서술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민족주의적 성격이다. 그는 일차적으로 중국의 紀年을 쓰지 않고 있다. 광무제기, 순종황제기 등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중국의 貢國이지, 屬國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아울러 박장현은 한국민족의 정기를 흥기시킬 수 있는 민족사의 서술을 시도하였다.
    박장현은 해동춘추에서, 광무제 시기에는, 을사보호조약에 서명한 다섯 신하에 대하여 역적으로 규정하고, 을사보호조약 쳬결과 그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그 중 특히 유학자에 주목하여 영남유학자 곽종석의 상소문에 주목하고 있다. 통감부설치 이후에는 홍주의 민종식 의병, 최익현, 임병찬 의병, 최익현의 대마도에서 순국을 기록하고 있다. 이어서 헤이그밀사 기록, 고종의 폐위, 양위 그리고 군대해산, 박성환의 자결 기록을 서술하고 있다. 해동춘추 순종황제 시기의 서술을 보면, 대종교 및 의병투쟁, 안중근의사 의거 및 재판 등을 서술하고 있다. 그 중 특히 안중근에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다루고 있는 그의 저서 중 국망부분은 그의 다른 저서인 『반도서경』에는 보이지 않고 있다.
    아울러 친일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이완용에 대한 비판과 응징, 만주에 대한 관심, 홍범식 등의 자결에 대하여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박장현은 대한제국기 특히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제에 대한 한인들의 저항 중심으로 해동춘추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1930년대 일제의 전시체제하에서 역사교과서로 만든 해동춘추에서 기록한 점은 평가할 수 있다.
    박장현은 특히 지배계층 유학자들의 저항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 유학자들의 의병 중심으로 기록하고 있는데, 허위, 최익현, 임병찬 등에서 짐작해 볼 수 있다. 유학자의 상소문 중 곽종석의 경우도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박장현의 장점이자 한계라고 볼 수 있다. 평민의병장인 신돌석, 홍범도 등의 기록을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박장현은 특별히 의병을 강조하고 있다. 계몽운동에 대한 서술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 한다. 대종교 및 휘문고등학교 설립 등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정도이다.
    박장현은 1930년대 전시체제기의 경북 청도의 농촌 유학자로서 문화학당이라는 학교를 설립하여 역사교과서로서 한문으로 해동춘추를 저술하였다. 역설적인 표현이지만, 그에게는 한글보다는 한문으로 작성하는 일이 더 쉬운 작업이었을 것이다. 그의 꿈은 박장현의 마지막 유언에서 입증하듯이, 이 책을 한글로 번역하여 조선의 청년들에게 민족사를 보존하고 민족의식을 갖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꿈은 후대를 기다릴 수 밖에 없었다. 박장현은 학문적 피로와 시대적 압박 등으로 1940년 33세에 요절하고 말았기 때문이었다.
    박장현은 독립운동가는 아니다. 그러나 1930년대 전시체제기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우리 역사를 보존하고 지켜나가기 위하여 노력하였던 수많은 시골 유생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Park Jang Hyun(1908~1940) identified that description of Korea's history was essential for revolution of history. Accordingly, he sought to achieve his goal to describe Han kook tong sa in his early 20s and 30s. The starting point was identifying that every history book of the time has its own problems. With recognizing the fact, he wanted to describe Korea's history correct to enhance the national spirit. Park thought that the positive approach towards history was not meaningful as it was just a list of historical facts. What he needed was historical description based on spirit and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was the specific measure he had sought for his goal. For him, that wa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veal his historical spirit.
    Among others, 『Hae dong chun chu』, description of Korea's modern history in particular, reflects the confucian thought of righteousness of Park Jang Hyun. The case in point was the description from the year 1907 when King Sungjong took the throne to 1910 when Korea was taken by the Japanese rule. For that purpose, Park utilized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in writing the Annals to highlight Her Wie, the head of an army and Ahn Jeung Geun, the Korean independent activist, while condemning Lee wan young who helped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Park Jang Hyun was from Cheongdo, the rural area in Gyeongsangbukdo, and launched Mun hwa hak dang in the 1930s, which was a chaotic era of the nation. He wrote 『Hae dong chun chu』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because that was more easier than wiring a book in Korean for him ironically. His last wish was interpreting his book into Korean for the younger generation to protect nation's history and have historical spirit as reflected in his dying words. However, this wish needs more time to be realized. Park died at the age of 33 in 1940 due to hard work and pressure of the time.
    Park Jang Hyun was not the activist to make the nation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ism. He was one of the conscience scholars in the 1930s to protect and preserve the nation's history in the midst of horrendou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