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南堂 朴昌和의 우리나라 疆域에 대한 論辨과 認識 (Namdang Park Chang Hwa’s Perception and Arguments on the Territory of Kore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12
36P 미리보기
南堂 朴昌和의 우리나라 疆域에 대한 論辨과 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41호 / 297 ~ 332페이지
    · 저자명 : 박남수

    초록

    본고는 필사본 ≪화랑세기≫ 저자로 알려진 남당 박창화의 역사지리에 대한 8개 論辨을 개관하여 그의 우리나라 역사지리관의 특징과 성격을 살피고자 하였다. 나아가 그의 강역론을 한백겸과 안정복, 정약용 및 당대의 역사지리학의 경향과 관련하여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의미와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의 모든 강역 관련 論辨은, 명나라 주원장의 의도에 따라 이성계가 朝鮮이라는 국호를 정하면서 비롯한 역사왜곡과 날조로부터 비롯하였다는 인식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 전기 관찬 사서와 지리지의 왜곡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기록까지도 개찬 산삭하였다는 인식으로 비화하였거니와, 이와 같이 우리 사서에 대한 불신과 단군을 부정하는 태도는 일본 학자들의 근대 역사학을 채용하면서 비롯된 인식이 아닌가 하는 혐의를 부인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우리 고대사의 활동 무대를 만주 일원에서 구하고, 부여-고구려로 이어지는 역사의 계통을 강조한 것은 조선 중기 북인학자들의 북벌론 등과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8 arguments on Korean historical geography asserted by Namdang Park Chang Hwa, known as a writer of manuscript Hwarangsegi(花郎世紀), and examine characteristics of his historical geographic perspective. Furthermore, by comparing his theories on the territory of Korea with those of Han Baekgyeom, An Jeongbok and Jung Yakyong, I would determine the meaning and features of his arguments.
    All of his arguments on the territory of Korea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existing territory perception started with the distortion and fabrication after Yi Seonggye, the founder of Joseon dynasty, made the name of country Joseon according to the intention by Zhu Yuanzhang of Ming. His such recognitions developed to the argument that even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as well as historical books and geographical books by government must have been distorted and altered intentionally. It seems that his such an distrustful attitude to our historical literatures and the negation of Dangun(檀君) were resulted from the adoption of modern historiography from Japanese historians. Nonetheless, his arguments are highly evaluated in the aspect that he tried to trace the territory of ancient Korea in Manchuria and emphasized the historical succession lining from Buyeo and Goguryeo, which keeps in with the insistence on Northern expedition by Northerners(北人, a Korean political faction) in the middle of Joseon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