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세기 초 朴興生의 牧民論 -『居官箴戒』를 중심으로- (Park Heung-saeng’s “Mokmin” theory in the early 15th century -Examination of his Geo’gwan Jam’gy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15세기 초 朴興生의 牧民論 -『居官箴戒』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5호 / 49 ~ 81페이지
    · 저자명 : 김호

    초록

    본고는 조선초기의 학자이자 관료였던 박흥생의 목민론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居官箴戒』는 중국의 관잠류 서적을 초록하여 편집했던 15세기 목민서로서는 현존하는 유일의 자료이다. 박흥생은 15세기의 학자답게 성리학은 물론 널리 실용의 학풍을 수용했다. 그의 또 다른 저술 『撮要新書』―박흥생이 목민관에게 중요하다고 강조한―에는 음양 술수로부터 의학에 이르는 다양한 생활 지식이 망라되어 있다. 물론 박흥생은 성리학의 충실한 훈도였다. 지방 향교의 교수를 시작으로 전라도 창평현령을 역임한 그는 성리학의 牧民論을 견지했다. 목민관은 우선 修身을 통해 자신의 몸을 단속하고, 서리들에게는 위엄을 그리고 백성들에게는 인정을 베풀어야 한다. 박흥생은 법의 엄격한 준수와 집행을 강조하면서도 융통성 있는 時中을 강조했다. 엄격한 법집행과 그 효과를 기대했던 조선초기의 법 관행에 비추어 볼 때, 박흥생은 법에 앞서 인간의 도덕 본성에 기초한 교화를 강조했다. 다시 말해 본성의 선의[性善]에 기초한 자율적 도덕 공동체의 수립이라는 성리학의 정치이념에 충실했다. 15세기 초반 이미 박흥생의 목민론은 성리학의 이해가 깊이를 더해갔던 16세기 이후의 목민론을 예견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idea of “treating and caring for the public(‘Mokmin, 牧民’)” shown by a person named Park Heung-saeng, who was a governmental official and academicia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His Geo’gwan Jam’gye(居官箴戒) is the only remaining example of the 15th century ‘Mokmin’ texts,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usually an abstract of Chinese “Gwanjam”-type writings. As a 15th century academic figure, Park Heung-saeng was not only well versed in Neo-Confucianism, but widely acceptive to practical academic approaches. His another writing Chwal’yo Shinseo, which he argued as an important text to be read by local officials, included a wide range of practical knowledge ranging from Yin and Yang theories to medicinal expertise. As a loyal Neo-Confucian scholar, he began his career as a professor at a local Hyang’gyo school, and later became the prefect of the Jeolla-do province’s Chang’pyeong-hyeon area, where he continued to maintain his own notion of Neo-Confucian care for the people(牧民論).
    According to him, local officials dealing with the people should first develop their own character and put their own body under check, while remaining authoritative to junior officials as well as appearing benevolent to the public. Although Park Heung-sae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ict adherence to the law and instructed others to be faithful to law enforcement, he also recommended balanced restraints as well as recognition of the situation at hand. Compared to the more conventional legal practices and not to mention the atmosphere of the time, which supported relentless law enforcement and expected results from such efforts, Park Heung-saeng tended to emphasize humans’ moral nature. He suggested that efforts to enlighten people should be launched first, before resorting to the rulings of law. In other words, he was a person who was more loyal to the Neo-Confucian ideology which aimed to construct an autonomous moral community based upon humans’ good will. His instructions for the local officials in the early 15th century laid out the foundation for the next generation’s new arguments in the same vein, which displayed even more Neo-Confucian ideological tendencies, in the 1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