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楚亭 朴齊家의 문인교유를 통한 性靈說 수용과정 고찰 (A Study on the Park Je-ga’s Acceptance Process of Seoglyeogsul through friendship)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7.04
29P 미리보기
楚亭 朴齊家의 문인교유를 통한 性靈說 수용과정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54호 / 115 ~ 143페이지
    · 저자명 : LINGMEI JIN

    초록

    본고에서는 초정 박제가의 문인교유를 통한 성령설의 수용과정을 살펴보았다. 초정은 비록 서자 신분이었지만 다양한 분야의 문인들과 널리 사귀었고 또 네 차례에 걸쳐 燕行을 다니면서 청나라 문인과도 폭넓게 교유했다. 따라서 그의 문인교유 양상은 국내외, 두 가지 측면에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성령설은 袁枚(1716~1797)가 집대성한 詩論의 한 갈래로 18세기 淸朝의 대표하는 擬古나 復古 시론에 대항하여 탄생했다. 따라서 성령설의 가장 큰 특징은 독창적이고 주체적인 창작법이다. 원매는 “詩者, 心之聲也, 性情所流露者也” 라는 시론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의 감정과 정서를 충분히 긍정함과 동시에 여성 및 하층민들까지도 창작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 “詩言志, 勞人思婦, 都可以言”라고 하여 개인의 性情 중에서도 가장 본연의 감정인, 남녀 간의 정을 충분히 존중해 주고자 했으며 이를 창작의 소재로까지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원매의 성령론은 시인의 능동성을 충분히 강조해야 한다는 취지의 문학론으로서 당대 새로운 사회적 풍조로도 발전했고 연행을 간 조선 문인들에게도 傳道되었다.
    초정은 이미 조선에 있을 때부터 성령설에 대해 알고 있었고 이후에는 연행을 통해 성령파 문인들과 직․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교유하였다. 본고에서는 초정이 성령설을 받아들인 배경이기도 한 초정의 家系 문제와 사상을 억압받은 관직 생활에 이어 국내 교유 양상을 먼저 검토한 다음 청나라 성령파 인물들과의 교우 양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초정의 전반적인 문인교유 양상을 통해 당대 문학론 형성의 일면을 밝혀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n this paper, I will look at how Park Je-ga accepted the Seoglyeogsul. Specifically, I wish to examine the process through which Park Je-ga became a literary person, Chosun and the Qing Dynasties.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nt of Park Je-ga’s studies is the Bukhakron. The Bukhanron was a concrete alternative to reforming Choson. However, it cannot explain the literary works of Park Je-ga, which can be explained by the free and active Seoglyeogsul.
    The Seoglyeogsul was an 18th century literary theory that suggested that poets express their feelings naturally in their works. It was proposed by Yuanmei during the Qing Dynasty. Park Je-ga already knew of the Seoglyeogsul through friends in Choson. He went to Qing Dynasty and met a lot of Seoglyeogpa. He visited the home of Yuanmei, the founder of the Seoglyeogs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lit the relationship into Park Je-ga. the Chosun literary person, and the Qing literary pers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k Je-ga and the Chosun literary scholars will be examined in household, office, and teacher. Park Je-ga and a troupe of Qing Dynasty literary scholars were examined one by one, focusing on Hojeojip.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Park Je-ga accepted the Seoglyeogsu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