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하 朴昌和의 학문역정과 朝鮮史 연구 (A Study on the Academic Journey of Park Chang-Hwa and His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Jose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2
30P 미리보기
일제하 朴昌和의 학문역정과 朝鮮史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70호 / 375 ~ 404페이지
    · 저자명 : 조형열

    초록

    이 글은 『화랑세기』 진위논쟁으로 세간에 알려진 박창화를 근대 지식인 연구의 일환으로, 일제하 학술활동과 조선사 연구의 폭을 살펴보는 사례로서 접근한 것이다. 박창화는 어려서 유학 공부를 시작해 고증학 학풍을 계승했다. 관립한성사범학교의 근대 교육과 10여 년의 교원 재직 경험이 있었지만 근대적 역사 연구를 접하지 못했다. 그는 한문세계에 기초한 전통적 지식인이고, 독학자였다. 박창화는 1910년대 후반 만주에 다녀왔고 1920년대 이후 약 20년을 일본에 체류했다. 국사강습회의 『중앙사단』에 참여하고, 황실 기록을 관리하는 궁내성 도서료에 근무하면서 일본 국학파의 상고적 복고의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박창화는 일본 활동기에 강성한 과거를 되살리기 위한 조선사 연구, 특히 강역 연구를 진행했다. 이 가운데 우리 강역을 축소시킨 중국과 조선의 ‘고식론자’에 대한 비판이 이어졌다. 그의 역사 연구는 민족주의사학과 유사한 서술 전략을 갖고 있었지만 대륙을 향한 팽창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났고, 역사발전의 계기를 모색하는 과학성과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실천성을 공유하지 못했다. 오히려 비논리적 방법으로 민족의 화려한 과거를 상상하는 ‘재야사학’ 형성의 통로가 될 가능성을 담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breadth of the academic activities and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Joseon as part of the study on a modern intellectual Park Chang-hwa, who became well-known for the controversy over the authenticity of Hwarangsegi. Park Chang-hwa started to study Confucianism at an early age, and succeeded to the academic traditions of documental archaeology. He received modern education at Hansung Normal School and served as a teacher for more than 10 years, but he was never exposed to modern studies of history. He was a traditional intellectual based on the Classical Chinese World and a self-educated person. Meanwhile, he visited Manchuria in the late 1910’s, and stayed in Japan for about 20 years since the 1920’s. He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Jungangsadan of the Japaness History Institute (Guksagangseuphoe), and he was influenced by the revivalism of ancient times of the Japanese Kokugaku scholars while working in the imperial library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which managed the records of the imperial family. It means that Park Chang-hwa had difficulty becoming a pragmatic intellectual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his stay in Japan, Park Chang-hwa conducted studies on the history of Joseon, particularly studies on territories, to revive the powerful past. He criticized ‘compromisers’ of China and Joseon who reduced the Korean territory. His description of history was meaningful as a strategy for restoring the national identity like nationalistic history, but it was strongly advocating expansion into the continent, and did not have the scientific character searching for opportunities for historical development or the practicality of resisting the colonial rule. Rather, he contributed to creating a channel for ‘non-mainstream historical studies’ which imagine the glorious past of the nation using illogical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