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錦舲 朴永輔의 「南茶幷序」 硏究 (A study on 「(Namdabyeongseo) 南茶幷序」 written by Bak Young-b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08
38P 미리보기
錦舲 朴永輔의 「南茶幷序」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4호 / 85 ~ 122페이지
    · 저자명 : 박동춘

    초록

    錦舲 朴永輔(1808~1872)는 조선 후기 유학자이다. 그는 ‘초의차’에 매료
    되어 한국 차의 연원을 밝히는 한편 ‘초의차’의 우수성을 칭송하는 장시「南
    茶幷序」를 남겼다. 그가 이 시를 쓴 것은 庚寅年(1830) 11월이다. 이는 초의
    (1786~1866)에게 교유의 증표로 보낸 것이다. 같은 해 초의도 『茶神傳』을
    정초하여 차를 이론을 정립하였다.
    당시 초의는 스승인 완호의 탑명을 얻기 위해 상경하면서 자신이 만든
    차를 奉禮品으로 가지고 왔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초의는 많은 경화사족들
    과 활발한 교유가 이루어졌으며 이들과 교유의 매개물은 차와 시였다.
    금령이 이 시를 지을 무렵, 경화사족들 사이에서 일어난 차에 대한 관심
    은 초의에 의해 주도된 것이다. 당시 경화학계에는 朱子學風에서 벗어나 청
    조의 고증학과 청의 문물 수용에 적극적이었는데, 이들의 차에 대한 관심
    또한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의 발로에서 출발된 것으로 한국 차 문화 중
    흥에 실질적인 토대가 되었다.
    금령은 차의 덕성이 선비의 학문적인 취향과 수신에 도움이 된다고 여겼
    다. 그는 차를 통해 사리에 통달한 현자가 되기를 원했다. 이것은 그가 차
    를 통해 忠과 信을 실천하는 名儒로서 세상을 위해 쓰일 公器가 되고자 한
    것이다. 결국 금령은 차를 통해 담박한 몸과 마음을 가진 현자가 되기를 바
    랐던 것으로 차의 淡泊한 성정을 닮고자 한 것이다. 이는 금령의「남다병
    서」를 통해 드러난 그의 茶道觀이라고 할 수 있다.필자는 금령의「남다병서」를 통해 경화사족의 차에 대한 관심이 초의에
    의해 주도 되었다는 점과 이들의 차에 관심은 초의로 하여금 한국 차를 중
    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주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경화사족들에 차에
    대한 인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남다병서」고찰은 일차적으로 조선 후기 경화사족들의 차에
    대한 인식과 초의의 차 문화 중흥기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
    다. 나아가 조선 후기 경화 사족들의 차에 대한 관심은 우리 문화에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하려는 발로에서 일어난 것이라는 사실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Geumryeong Park, Yeong-boo (錦舲朴永輔)(1808~1872) was a
    Confucius scholar in the late Chosun Dynasty. He was fascinated by
    ‘Choeui-cha’(a type of tea) to uncover the origin of Korean teas and
    made a long-poem to glorify ‘Choeui-cha’, 「(Namdabyeongseo)南茶幷
    序」. It was November in Gyeonginyeon (1830) when he wrote the
    poem as a token of exchange with Choeui (1786~1866). In the same
    year, Choeui also laid the foundation of 『Chashinjeong(茶神傳)』 to
    establish his theory of tea.
    At that time, Choeui came up to the capital to receive a tower
    script from his teacher, Wanho and brought a tea he had made as a
    tribute. Around this time Choeui enjoyed active interchanges with
    Gyeonghwasajok (nobilities in the capital) through distinctive media,
    teas and poems.
    When Geumryeong wrote this poem, the growing interest in tea
    among the Hanseong nobility was led by Choeui. At that time,
    academia in the capital was active in escaping from Chu His’s
    academic traditions and accepting the Ching Dynasty’s Gozeunghak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research) and its culture. Theirinterest in tea stemmed from pride in the Korean culture that served
    as a practical basis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tea culture.
    Geumryeong believed the benign quality of tea helped
    scholars’academic taste and self-discipline. Through teas, he wanted
    to be the sage who mastered the laws of the world. That is to say,
    he wished to be a renowned scholar who practiced loyalty and faith
    and a public tool to be used by the world through teas. In the end,
    Geumryeong wanted to be a sage who had an unsophisticated mind
    and body through tea and wanted to follow the immaculate quality
    of tea. This can also be said to be his view on the tea ceremony
    revealed in his 「Namdabyeongseo」.
    Through Geumryeong’s「Namdabyeongseo」, I uncovered that
    Gyeonghwasajok’s interest in tea was ignited and promoted by
    Choeui and that their interest laid a foundation for Choeui to revive
    Korean tea and attempted to discover the general awareness of tea
    by Gyeonghwasajok.
    As such, the review of 「Namdabyeongseo」will primarily help the
    understanding of tea by Gyeonghwasajok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role played in Choeui’s tea culture renaissance. Furthermore,
    I gather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that
    Gyeonghwasajok’s interest in tea in the late Chosun Dynasty
    originated from an attempt to find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