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石顚 朴漢永의 佛敎史觀과 그 價値 (Seokjeon Park Hanyoung‘s Perspective on Buddhism in Korea and Its Valu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11
29P 미리보기
石顚 朴漢永의 佛敎史觀과 그 價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8호 / 179 ~ 207페이지
    · 저자명 : 오경후

    초록

    석전 박한영은 일제 강점기를 살다간 불교계의 대표적인 지성이다. 그는 근대의 격랑 속에서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회복하고자 하였고, 불교개혁운동을 통해 한국불교의 미래를 준비하고자 하였다. 석전의 한국불교사 연구는 이와 같은 실제적인 과제해결을 위한 기초였다. 한국불교사에서 그의 관심은 조선과 미래불교에 있었다. 불교수용 이후 그 발달과 성숙이 중국과 일본보다 우수했지만, 조선의 오랜 탄압과 소외로 그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으며, 후학들은 그 흔적조차도 관심두지 않고 있음을 안타까워 한 것이다. 석전은 불교의 침체를 동시대 지성들의 여론과는 달리 불교 내부의 모순에서 찾고자 하였다. 아울러 화엄사상에 기초한 미래불교의 발전사관을 피력하기도 하였다. 그는 한국불교사의 복원을 위해 자료를 찾아 소개하였고, 이전의 연구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결국 석전이 우리 불교사 자료를 찾고, 다시 정리한 것은 과거 불교의 모순을 정확하고 냉정하게 지적하여 미래불교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Seokjeon Park Hanyoung was a leading intellectual of the Buddhist circle in Korea who liv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In the turbulent times, he endeavo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led reformist efforts to pave a way for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His research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provided a ground to tackle more practical challenges. His main areas of interest were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future of Buddhism. He lamented that while Buddhism used to be more developed and mature in Korea than in China or Japan when it was introduced in Korea, it shriveled to hardly maintaining its survival during the long period of oppression and neglect under the Joseon dynasty, and that young scholars did not show interest in the country's remaining Buddhist legacy. Unlike his contemporaries, He also advocated the philosophy based on hwaeomsasang (華嚴思想) for the future of Buddhism. He found and introduced materials that can facilitate the restoration of Buddhist history in Korea, and strove to reinterpret earlier researches. His efforts to find and reorganize materials o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stablish a ground for the future of Buddhism with sharp and unbiased criticism over the contradictions within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