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 수록 〈보은의 박〉 연구 (Research on the “Boeun-ui Bak” fairytale featured in Education of Chosu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07
29P 미리보기
『문교의 조선(文敎の朝鮮)』 수록 〈보은의 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67호 / 119 ~ 147페이지
    · 저자명 : 진은진

    초록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 교육잡지 『문교의 조선』에 실린 동화 <보은의 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일본어 잡지 『문교의 조선』을 발행한 조선교육회는 명목상으로는 교원단체였지만 조선총독부 관료들이 임원을 맡고 있는, 사실상 조선총독부의 관변단체였고 『문교의 조선』도 조선총독부의 실질적 기관지로서의 성격을 지니면서 식민지 교육 정책에 적극 이바지할 수밖에 없었다.
    <보은의 박>이 실린 『문교의 조선』은 1928년 1월 동화 특집호다. 동화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논문 세 편과 함께 <보은의 박>을 비롯한 동화가 17편 실려 있는데, 구성과 편집 면에서부터 황국신민화 교육의 첨병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특히 <보은의 박>을 집필한 이와사 시게가즈(岩佐重一)는 조선총독부 관료 출신이자 조선교육회 임원으로서 조선교육회의 기관지인 『문교의 조선』 편집과 발행을 주도하였던 것으로 보여 <보은의 박>의 성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흥부전>을 동화화한 <보은의 박>은 6개의 장으로 이루어진 중편이며, 다나카가 집필한 것으로 밝혀진 조선총독부 『조선동화집』의 <놀부와 흥부>를 바탕으로 재창작되었다고 추측된다. <흥부전> 경판본을 비교적 충실히 옮기고 있는 <놀부와 흥부>에 비해 <보은의 박>은 생략된 부분이 많고, 새로 삽입한 부분들이 많아 적극적인 개작이 이루어진 작품이다. <보은의 박>이 흥부의 심성이나 자질, 행동과 실천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은 ‘가난 속의 행복’이며, 작품 속에서 제시하고 있는 구체적인 실천 방안은 정직, 순종, 상냥, 애교, 자비심, 동정심, 친절, 동물 사랑, 이웃사랑, 댓가를 바라지 않는 선행 등이다. 그런데 이 덕목들은 모두 수신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덕목들이다. 충량한 황국신민을 만드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하고 있었던 수신서의 덕목들을 체현하고 있는 흥부는, 황국신민이라고 하는 일종의 모범적 인간의 구체적 교육 모델로서 제시되고 있으며 <보은의 박>은 수신서의 덕목들을 스토리로 구체화한, 일종의 도덕지침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교훈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선과 악을 극단적으로 대비시키고, 분명한 상벌을 강조하며, 합리성과 현실성을 추구하는 개작을 방향을 보이는 <보은의 박>은 황국의 충량한 신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교훈적 덕목을 충실히 제시함으로써 동화의 교훈적 성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작품이다.

    영어초록

    The Chosun Education Association, which published the Japanese magazine Education of Chosun, was nominally known as a teacher's group, but was in fact the official organization of the Chosun Colonial Government. As such, Education of Chosun actively contributed to the colonial education policy of the Chosun Governor.
    “Boeun-ui Bak” was published in a special fairytale-themed issue of Education in Chosun in 1928, with three paper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fairytales and 17 fairytales also included.
    Shigegaz Iwasa, who wrote “Boeun-ui Bak”, was a bureaucrat of the Chosun Colonial Government General and led the editing and publication of Education of Chosun, regarded as an institution of the Chosun Education Association of which he was a member.
    “Boeun-ui Bak” is a fairy-tale that actively adapts HeungbooJeon through certain omitted and newly added parts, and actively utilizes the didactic nature of fairy tales. Honesty, obedience, gentleness, compassion, kindness, love for animals, neighborly love, and good deeds that are not worth the price, which the fairy-tale demonstrates, are all consistent with the virtues emphasized in the disciplinary training textbook. In other words, Heungboo stands as is a kind of exemplary human educational model, and “Boeun-ui Bak” serves as a moral guide.
    The adaptations in “Boeun-ui Bak” were made in order to prepare individuals for the extremes of good and evil, emphasize clear punishment, and pursue rationality and rea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communicative power of lessons.
    “Boeun-ui Bak”, published during the forceful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faithfully presented the instructive virtues necessary to be equipped as good people loyal to the Japanese emper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