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巖 朴趾源의 漢詩에 關한 한 考察 (Some Thoughts on the Chinese Poems of Yeonam Park Ji W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7.06
30P 미리보기
燕巖 朴趾源의 漢詩에 關한 한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39호 / 293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종문

    초록

    燕巖 朴趾源은 산문과 상대적으로 비교해 볼 때 시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지 않았고, 현존하는 작품수도 고작 34題 45首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시 예술의 美感을 정감적으로 체득하고 있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발적인 언급을 살펴보면 그의 한시가 도달한 예술적 성취는 결코 범상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점은 현존하는 작품을 통해서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단 짓기만 하면 빼어난 작품을 지어낼 수 있었던 연암이 한시, 특히 近體詩의 창작에 이토록 소극적이었던 것은 한시예술이 지닌 형식적 폐쇄성에 대한 거부감 때문이었다. 다 알다시피 平仄法, 押韻法 등 근체시의 여러 규율들은 중국 특정 시대의 언어와 문화적 조건 속에서 완성된 것으로 음악성을 중시하는 한시 예술의 미학적 기반이자 美感 창출의 기본 원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규율은 언어와 문화적인 조건이 전혀 다른 조선 후기의 우리나라 시인에게는 아무래도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기가 어려웠다. 요컨대 연암은 한시 미감의 창출 원리로서 긍정적인 작용을 하기보다는 자유로운 창의력을 제약하는 족쇄가 되어 있었던 전통한시의 규율이 지닌 폐쇄성에 강렬한 거부감을 느꼈던 것이다. 그가 근체시의 형식을 의식하고 있으면서도 근체시의 규율들을 과감하게 일탈하고 나오거나, 대담한 파격을 보여주는 작품을 적지 않게 남긴 것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다 알다시피 조선후기에는 ‘造作的이지 않은 自然態’와 ‘규율에 구속되지 않는 자유’의 이념을 그 핵심적 지향으로 하는 天機論이 광범위하게 유포되어 있던 시기였으므로 연암의 이와 같은 태도를 平地突出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의 시인들이 근체시의 폐쇄적 규율을 맹목적으로 추수하고 있던 상황 속에서, 연암이 이와 같은 흐름에 대한 거부감으로 한시, 특히 근체시의 창작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거나, 근체시의 규율에서 과감한 파격과 일탈을 보여주었다는 것은 크게 주목되어야 마땅하다. 왜냐하면 그것이 단순히 개인적 취향에서 빚어진 우연의 소산이 아니라 당대의 역사적 조건과 사회적 조건 속에서 야기된 필연의 산물이므로 그 자체가 하나의 문학사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한시의 보편 규율에 대한 맹목적 추종을 거부하고 나온 다산의 ‘朝鮮詩 宣言’이 하나의 공식적인 ‘선언’이라면, 한시 창작에 대한 연암의 소극적 태도와 근체시의 보편 규율에서 거침없는 일탈과 파격을 감행한 그의 일련의 시들은 바로 이 ‘선언’을 구체적인 작품 속에서 실천적으로 구현한 선구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Yeonam Park Ji Won did not have as much interest in writing poems as he did in writing prose. His poems number only 45, appearing in only 34 works. However, the literary aficionados during the Joseon period, who were experts on Chinese poems as an art form and who understood the aesthetic aspect of these poems, sporadically mentioned Yeonam's poems. This means that Yeonam's artistic expressions in his poems were unusual and extraordinary. This can be verified through a reading of his poems.
    Yeonam's poems can all be regarded as excellent. It is notable, though, that he did not enjoy writing the poem based on the prevailing rhythms and quatrains (called Geunchaesi), since he had an antipathy to the closure property of formalism. As is widely known, the rules in such Geunchaesi-style Chinese poems are founded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nditions during a particular period in Chinese history, and these rules account for the beauty and aesthetic base that are a trademark of Chinese poems, all of which consider musicality important. These rules, however, could not have attracted the poet, who liv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 period that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e other periods in Chinese history in terms of its linguistic and cultural conditions. In short, Yeonam had a strong aversion to the closure property of the rules of classic Chinese poems, considering such rules prison bars that hinder freedom and creativity, andthus, the production of a thing of beauty. He clearly recognized these rules on rhythm in Chinese poems, but he resolutely tried to break free from such rules. He was thus able to leave behind several great works that manifest interesting irregularities.
    It is widely known that the late Joseo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he desire of people to be natural and not artificial, and to break free from rules. As such, it can be surmised that it was not only Yeonam who exhibited this attitude towardsChinese poems. However, at that time, when most poets still blindly pursued the strict rules of Geunchaesi or Chinese poems based on rhythms, Yeonam bravely manifested his discomfort towards such rules and posed a big challenge to the norm then by refusing to create Geunchassi-style poems although he had great talent in writing poems. Thi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and meaningful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lthough Yeonam's attitude towards Geunchaesi can be considered a very passive form of resistance to the prevailing norm then, passive resistance can be regarded as a great literary event in history. If Dasan Jeong Yak Yeong's "Joseon Poem Declaration' was a formal declaration, Yeonam's passive resistance to writing Geunchaesi, and his poems, which herald rebellion against the existing norm, can be said to have paved the way for such declaration to be put into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