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朴通事』에 등장하는 몇몇 난해 지명에 대하여 (A Study on some difficult names of places of Parktongsa)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12
29P 미리보기
『朴通事』에 등장하는 몇몇 난해 지명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15권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양진

    초록

    본고에서는 『朴通事』에 등장하는 난해 지명의 위치를 하나하나 고증하였다. 본고는 우선 논의에 따라 『朴通事』의 원문에서 ‘京, 京城, 京都’로 기록된 일부 지명이 원나라 당시의 대도(大都)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상도(上都)를 가리키는 것으로 쓰였음을 밝혔다. 이어서 『朴通事』의 원문이나 『朴通事輯覽』에 그 위치가 혼동되게 기록된 ‘오문(午門)’에 대하여 논의하고, ‘광풍창’, ‘광록시’, ‘남성 영녕사’ 등에 대해서 그 위치를 주로 『析津志輯佚』의 내용에 근거하여 그 정확한 위치를 밝히고 이상의 결과를 원대 대도의 지도 위에 그려 넣어 보였다. 또 원나라 대도를 중심으로 하는 생활권역에 나타나지 않는 ‘선정산’이 실제로는 여러 가지 정황상 현재 북경의 ‘석경산’임을 논증하였고, 『朴通事』의 『西遊記平話』 속에 등장하는 ‘차지국’이라는 지명이 실제로는 ‘쿠처(Kuchar)’의 옛 지명인 츄즈(Chuze)’에 대한 음차에서 온 것임을 밝혔다. 그 밖에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수수께끼로 남겨진 부분들이 존재하지만 이를 통해 『朴通事』의 난해 지명의 지리적 배경이 부분적으로 해결되었다고 믿는다.

    영어초록

    The Parktongsa(朴通事) was written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during the Won[元] dynasty. It had been used as a Chinese conversation textbook from the Korea dynasty to the Choseun dynasty. Even though it used as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for several centuries, still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is thesis aims to study on difficult names of places in the Parktongsa to understand the Chinese conversation book. For examples, those place names such as ‘京, 京城, 京都’ did not refer to Daedu(大都) of Won dynasty but to Shangdu(上都) which was the winter capital of Won dynasty. In addition the location of Wumen(午門) which was uncertainly recorded in Parktongsa was corrected in this paper, with an effort to show the exact locations of Gwangfengcang(廣豊倉), Gwangrusi(光祿寺), Nancheng (南城) Yongningsi(永寧寺).
    Those were researched based on Xijinzhijiyi(析津志輯佚) which explained geography of Daedu and that outcome of research was marked on the map of Daedu.
    Shandingshan(禪頂山) of this book was identified as Shijingshan (石景山) of present Beijing(北京) on the ground of many circumstances. The name of Chechiguo(車遲國) in Xiyoujipinghua (西遊記平話) of Parktongsa is borrowed form of the old name of Kuchar, which was Chuze. The other unsolved matters remains still, but part of geographical background was considered to be sol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