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세당의 『장자』 주석 목적 (The Purpose of Pak Sedang's Commentary on Zhuangz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12
23P 미리보기
박세당의 『장자』 주석 목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3권 / 165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학목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서계 박세당이 『장자』를 주석한 이유를 밝히기 위함이다. 그는 32살의 늦은 나이에 관직에 나아갔으나 자신의 뜻을 펼칠 수 없음을 알고 40살의 이른 나이에 조정을 떠나 은거한다. 그 후 그는 농사로 생업을 이어가면서 교육과 저술에 몰두한다. 그런데 그는 농사에 대한 책을 저술한 다음에 바로 이단의 서적인 『노자』와 『장자』를 주석하니, 이것에 대해서는 반드시 해명이 필요하다. 그가 『노자』를 주석한 이유는 당시 문식에 치우친 사대부들에게 노자 사상의 핵심인 실질의 중요성을 깨닫도록 하기 위함이고, 『장자』를 주석한 이유는 자신의 마음을 비우면서 사대부들도 마음을 비워 공허한 당쟁을 멈추도록 하기 위함이다.
    서계는 『남화경주해산보』를 통해 조정을 떠나는 그 심정을 기술한다. 자신이 상대와 다투면서 아무리 옳은 것을 주장할지라도 상대는 그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도리어 반격하니, 차라리 자신이 어리석게 보일지라도 말없이 떠나는 것이 세상을 조금이라도 빨리 안정시키는 것이다. 그는 1680년 52살에 『장자』 주석의 「서문」을 지었다. 그런데 그 주석의 많은 분량과 많은 참고 서적을 감안하면, 은거 이전부터 『장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은거 후 비교적 일찍 주석을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주석의 이유는 사적으로 자신의 마음을 비워 안정시키는 것이고, 공적으로 사대부들도 마음을 비우게 함으로써 나라와 백성을 혼란에서 구하기 위함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why Seogye Pak Sedang commented on Zhuangzi. He entered government service at the late age of 32, but he resigned his office at the early age of 40, knowing that he could not spread his will. After that, he continues his life as a farmer and devotes himself to education and writing.
    However, after he wrote a book on farming, he immediately commented on the books of heresy, Laozi and Zhuangzi, and it is necessary to explain this. The reason he commented on Laozi is to make the noblemen who were biased toward the ceremony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real, which is the core of the idea of ​​Laozi, and the reason he commented on Zhuangzi is to make the noblemen stop empty party strife by emptying their minds.
    Seogye describes the feeling of resigning his office through Commentary on Zhuangzi. No matter how much he argues with the opponent, the opponent does not accept it and fights back.
    So even if he looks foolish, his leaving without a word is a way to stabilize the world a little bit faster. He wrote the preface of Commentary on Zhuangzi in 1680 at the age of 52.
    However, considering that he had a lot of comments and he referred to so many books, it is presumed that he was interested in Zhuangzi before he was hiding, and so started his comments relatively early after he had stayed away.
    The reason for the comment is to stabilize and empty his mind privately, and to save the country and the people from confusion publicly by emptying the mind of the noblem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