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근대 시기 儒學者 佛敎로의 轉向 사례 -林湖 朴守儉의 경우- (The Aspect of conversion to Buddhism during pre-modern age's a Confucian Scholar - The case of Ihmho(林湖) Park Su-geom (朴守儉)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12
43P 미리보기
전근대 시기 儒學者 佛敎로의 轉向 사례 -林湖 朴守儉의 경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7호 / 77 ~ 11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수

    초록

    고려 왕족의 후손으로 향리인 제천에서 태어난 임호 박수검은 효성과 학문을 숭상하였던 가전의 분위기 속에서 성장하였다. 이어진 수학기 동안에 박수검은 순차적으로 조석윤·이영선·이준남·송시열 등을 스승으로 삼은 가운데, 조기에 문명을 떨친 학문적 행운아였다. 이처럼 기호학적 배경 속에서 학업을 연마하였던 박수검은 저서『중용석의』의 서문에서 확인되듯, 노론계의 정주학자다운 엄격한 도통론을 견지한 인물이기도 했다.
    그러나 박수검은 20세에 진사초시에 합격한 지 무려 24년 만인 44세에 가까스로 과거에 합격하였고, 차후로 전개된 관직생활 역시 그리 순탄하질 못했다. 특히 20대 중반 무렵부터 시작하여 약 20여 년간이나 지속된 가혹한 불행사들로 인해 애초 박수검이 추구했던 입신양명의 꿈은 무한정 지연되고 있었다. 때문에 박수검은 이미 이 기간 동안에 심각한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었다. 게다가 사환기 적에 직면한 두 번의 유배형과 다섯 번에 걸친 탄핵은 박수검이 간직한 심리적 외상의 골을 더욱 덧나게 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박수검이 노장철학과 수련도교, 그리고 『주역』 방면의 연찬에 주력했던 이유 또한 그가 떠안은 연원 깊은 트라우마의 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이에 추가하여 박수검은 불교학 방면으로까지 “진리 탐구[尋眞]”의 장을 확장하였는데, 이 또한 그가 간직한 트라우마를 해소·치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박수검은 불교교학 제 방면에 대해 진지한 연찬을 시도하였고, 또한 정좌 수행에 몰입했던 흔적을 문집 도처에 남겨 두었다. 나아가 박수검은 정토신앙에도 관심을 기울인 가운데, 부처의 가피력으로 대변되는 타력 신앙을 수용하고도 있었다. 이 점 기존 정주학[유학]에서 제시해 주지 못한 구원의 메시지에 대한 강렬한 갈망이 읽혀지는 대목이다. 한편 법력 높은 승려와 교유를 나누었던 지식인 불자 박수검은 자신을 사부대중의 일원인 “만곡 우바새”로 자처함으로써, 그의 변신 행위가 종교적 전향에 준하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시사해 두었다. 이는 17세기 중·후반을 전후로 한 노론 지성계 내부에서 극히 이례적인 사태에 해당한다.

    영어초록

    Park Su-geom studied with the background of Giho School(畿湖學) and became famous in literary circle at his early age. As it can be confirmed in the preface of『Jungyong-seokui(中庸釋義)』, Park Su-geom originally supported firm Dotong discourse(道統論) as he was a Jeongjoo scholar(程朱學者) belonging to Noron School(老論系).
    Park Su-geom had passed the examination for Jinsa(進士試) when he was 20 years old; however, he had to wait 24 years until he passed the main examination for senior government officer when he was 44 years old. He suffered continuous and severe disasters at home for 20 years since he was in the middle of 20s. Further with the long delay of successful career, Park Su-geom was already suffering serious trauma. His trauma became more serious when he worked as a government officer later because he continuously received punishments such as banishment and impeachment. Park Su-geom’s intense concentration in Zhuangzi philosophy(莊子哲學) and『Zhouyi(周易)』also confirms his trauma with such deep origin.
    At last, Park Su-geom turned to Buddhism in order to heal the trauma with deep origin. He called self as an Upasaka (a male Buddhist), studied the categories in Buddhism teaching with intensity, practiced asceticism in person which he called ‘silent sitting’(靜坐) and socialized with Buddhist monks. Park Su-geom also had interest in paradise belief in Buddhism(淨土信仰) and even accommodated the element of ‘other power faith’(他力信仰, achieving wish by the power of God). It is possible to read his yearning for the message of salvation, which existing Jeongjoo doctrines(程朱學) or Confucianism could not give. The conversion to Buddhism by Park Su-geom is regarded as a very exceptional case in the intellectual circle of Noron School during the middle and lat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