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朴壽春의 향촌활동과 도통인식 (The Local Activities and Dotong(道統) Consciousness of Park Soo-choon(朴壽春), a Jaeji-Sajok(在地士族) of Miryang, in the Seventeenth Centu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2.06
35P 미리보기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朴壽春의 향촌활동과 도통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83호 / 1 ~ 35페이지
    · 저자명 : 장동표

    초록

    본고는 17세기 밀양의 대표적인 재지사족 朴壽春(1572∼1652)의 가계와 사우연원, 향촌사회 활동의 전개와 의병운동 참여, 도통인식과 도학적 삶의 모습을 통하여 임진왜란 이후 구축된 향촌사회사의 한 단면을 보고자 한 것이다. 개별 인물의 향촌활동에 대한 미시적 분석은 조선중기 향촌사회사를 보다 밀도 있게 그려내는 작업의 하나가 된다. 박수춘은 17세기 밀양지역의 유력한 재지사족 세력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선대의 도학적 전통과 당대의 폭넓은 사승 관계를 바탕으로 많은 인물들과 교유하였으며, 밀양지역의 향론을 주도하였던 인물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시기에 의병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전쟁 이후 흐트러진 밀양의 향촌사회 질서를 복구하기 위해 향안 중수와 향약 실시에 참여하였고, 향내 대표적인 유력사족으로서 향회와 향교 운영 등에서도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박수춘은 도통을 정립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처사적 태도의 도학적 삶을 지향하였고, 전혀 관직을 갖지 않으면서도 향촌사회 교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한 17세기 재지사족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 이 같은 연구는 조선중기 영남지역 향촌사회 구조의 한 단면과 당시 향촌 지식인의 성격을 밝히는 데 일정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an aspect of the history of local society that had been formed after the Imjin War by examining a representative Jaeji-Sajok(在地士族) of the 17th century, Park Soo-choon(朴壽春, 1572-1652)’s pedigree and academic genealogy, his activities in local society, participation in the volunteer corps movement, and, lastly, his understanding of Dotong(道統) and Neo-Confucian way of life. One of historian’s works which portray the history of local society in the middle of Chosun in depth is to put a single individual’s activities in local society into microscopic analysis. Park Soo-choon was the person who belonged to the leading Jaeji-Sajok in the Miryang area. Keeping up his acquaintance with a number of people in the basis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 inherited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and a wide range of teacher-pupil relations at his time, he was a leading person who took the leadership in formation of local public opinion. He took part in the volunteer corps activities both in the Imjin War and the Byungja War. Moreover, after Imjin War, he not only got involved in remaking Hyangan(鄕案) and conducting Hyangyak(鄕約), in order to restore the local community of Miryang which was in disorder due to war, but also led the management of Hyanghoe(鄕會) and Hyanggyo(鄕校) as a influential Sajok in the local area. He lived, Furthermore, by Neo-Confucian way of life with an attitude of being a reclusive scholar, making an effort to establish Dotong, and,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he was the archetype of the seventeenth century Jaeji-Sajok who set out to edify the local community without entering any public officals. It is considered, in short,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not be overlooked in that it brings to light an aspect of the structure of local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 of local intellectual of the mid-Chosun in the Yeongnam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