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의 삶과 도설(圖說)로 보는 가정교육 (Hom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nd doseol(圖說) of Yaeun(野隱) ParkJeonggyu(朴廷奎))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의 삶과 도설(圖說)로 보는 가정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70호 / 287 ~ 314페이지
    · 저자명 : 조우진

    초록

    야은(野隱) 박정규(朴廷奎, 1829∼1898)는 구한말 호남 담양(潭陽)의 유학자이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직전 제자이다. 본 논문의목적은 박정규의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과 그의 가정교육을 살피는 데 있다.
    박정규는 초야에 은둔하여 산천을 유람하면서도 스승 노사를 비롯한 당시 지식인들과 인적 관계망을 형성하였다. 그런데 그는 후학양성보다는 인(仁)을실천하는 근본인 ‘효제(孝悌)’를 중심으로 가정교육을 중시하였다.
    노사를 비롯한 그의 문인들은 대부분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 의 『격몽요결(擊蒙要訣)』을 초학자의 수양서 정도로 보았지만, 그것을 특히강조한 사람이 바로 박정규이다. 박정규는 『격몽요결』의 내용을 요약한 <약선율옹요결십조면아자(約選栗翁要訣十條勉兒子)>를 저술하여 자손들에게 힘쓰도록 가르쳤다. 그는 노사학파 문인들 가운데 유일하게 『격몽요결』을 심신수양(心身修養)의 핵심으로 삼아 <지신도설(持身圖說)>과 <완심도설(玩心圖 說)>을 완성한 사람이다.
    <지신도설>은 중화(中和)・중용(中庸)의 개념과 『격몽요결』의 <지신장(持 身章)> 내용을 중심으로 만든 몸가짐에 대한 이론이며, <완심도설>은 인심(人 心)・도심(道心)을 오환(五患)과 오선(五善)으로 구분한 마음가짐에 대한 이론이다. 박정규의 위상은 가난한 삶 속에서도 공맹(孔孟)의 도학(道學)과 정주(程朱)의 이학(理學)을 학문의 축으로 여기고, 율곡(栗谷)과 노사(蘆沙)의 사유체계를 바탕으로 몸과 마음을 수양하는 독창적인 도설(圖說)을 제작하여 실천했을 뿐만 아니라 가정교육의 단상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있다.

    영어초록

    Yaeun(野隱) ParkJeonggyu(朴廷奎, 1829∼1898) was a Confucian scholar in Damyang of Honam at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and a disciple of Nosa(蘆沙) KiJeongjin(奇正鎭, 1798∼187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life of anbinrakdo(安貧樂道) of ParkJeonggyu and his home education. ParkJeonggyu traveled around the homeland in seclusion in the countryside, but he also formed a network of personal relations with his teacher Nosa and intellectuals at the time.
    However, he put more importance on home education centered on ‘xiàotì(孝悌)’, which is the basis for practicing rén(仁) rather than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Most scholars including Nosa viewed Yulgok(栗谷) Yiyi(李珥, 1536∼1584)’s 『Gyeokmongyogyeol(擊蒙要訣)』 as a training book for beginners. But it was ParkJeonggyu who particularly emphasized it. ParkJeonggyu wrote <Yakseonyulongyogyeolsipjomyeonaja( 約選栗翁要訣十條勉兒子)> which summarizes the contents of 『Gyeokmongyogyeol』, and taught his descendants to practice the content. He is the only person in the Nosa school to complete <Jisindoseol(持身圖說)> and <Wansimdoseol(玩心圖說)> with 『Gyeokmongyogyeol』 as the core of xīnshēnxiūyǎng (心身修養).
    <Jisindoseol> is a theory about body posture written around the concept of zhōnghé(中和)・zhōngyōng(中庸) and the contents of <Jisinjang(持身章)>.
    <Wansimdoseol> is a theory about the mindset that divides rénxīn(人心)・dàoxīn(道 心) into wǔhuàn(五患)・wǔshàn(五善). ParkJeonggyu's status is viewed in three ways. First, he regarded kŏngmèng(孔孟)‘s dàoxué(道學) and ChéngZhū(程朱)’s lǐxué(理學) as the axes of his studies. Second, he produced and practiced unusual túshuō(圖說) that cultivate the body and mind based on Yulgok and Nosa’s thinking system. Three, he showed an aspect of home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