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恒과 朴淳의 理氣論과 그 特性 (Lee Hang(李恒) and Park Sun(朴淳)’s and the LǐQì(理氣) theory, and it’s characteristic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6
33P 미리보기
李恒과 朴淳의 理氣論과 그 特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58호 / 247 ~ 279페이지
    · 저자명 : 손흥철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一齋 李恒(1499~1576)과 思庵 朴淳(1523∼1589)의 理氣論 내용 및 특징을 비교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들의 철학이 호남학파로서의 성립 가능성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선전기의 리기론의 전개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전기의 리기론은 주로 太極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에서 이견이 생겼고, 이를 중심으로 학파가 형성되었다.
    다음으로 一齋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연구하였다. 일재의 리기론 또한 그의 태극론에 기초하며, 周濂溪의 「태극도설」의 요지를 충실하게 따르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특히 일재가 주장한 리기의 不離不雜과 ‘一而二, 二而一’은 栗谷 李珥(1536~1584)의 리기론과 같은 맥락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思菴의 태극론과 리기론을 검토하였다. 사암은 기본적으로 화담의 기철학에 기초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암은 율곡과의 논변에서 태극 이전에 太虛라는 원초적 기가 있다고 보았다. 사암과 율곡의 논쟁의 핵심은 ‘太極生兩儀’의 해석에 있음을 알아보았다. 여기서 사암은 태극으로부터 음과 양이 생겨난다고 해석하였고, 율곡은 음과 양이 태극 속에 내재해 있으면서 태극의 작용에 따라서 그것이 현상으로 드러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과정에서 일재와 사암을 중심으로 하는 호남학파의 성립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율곡의 성리학과 호남학파는 상호 연관성과 함께 차별성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선성리학의 깊이와 외연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we compare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YlJae(一齋) Lee Hang(李恒. 1499-1576) and SaAm(思菴) Park Sun(朴淳. 1523-1589)’s the theory of LǐQì(理氣), And their philosophy was studied to see if they could form as Honam schools.
    For this purpose, we first looked at the development and aspects of the LǐQì the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ǐQì theory, at that time, had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Taiji(太極), and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a school.
    Next, we studied the Taiji theory and the LǐQì theory of Yl jae. We also found that YlJae's LǐQì theory is based on his Taiji theory, and closely follows the main points of the Taijitu shuo(太极图说) of Zhoulianxi(周濂溪. 1017~1073). In particular, we found that Yljae's claim to be “neither separate nor mixed(不離不雜)” “One and two, Two and one(一而二, 二而一)” were in the same context as the Yulgok’s LǐQì theory.
    Next, the Tàijí theory and the LǐQì theory of SaAm were considered. SaAm proved to be basically based on the Hwudam(花潭. 1489∼1546)’s Qi philosophy. SaAm saw that before Taiji, there was a primitive energy called Taixu(太虛). At the core of SaAm and Yulgok debate was the interpretation of “太極生兩儀”. SaAm interpreted that the yin and yang produced from the Taiji, and Yulgok saw it as a phenomenon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Taiji while the yin and yang are inherent in the Tàijí.
    In the process of doing so, we can se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Honam school based on Yljae and SaAm. Because, there is found the difference and inter-connectivity between Yulgok’s Neo-Confucianism and Honam school. And through such research, I think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depth and externality of Joseon Neo-Confucia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