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廖燕과 朴趾源의 원초적 텍스트 이론 (The Archi-Text Theory of Liao-Yan(廖燕) and Park, Ji-Won(朴趾源))

8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8.06
86P 미리보기
廖燕과 朴趾源의 원초적 텍스트 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15호 / 107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대중

    초록

    본고는 청나라 초기의 작가 요연(廖燕, 1644~1705)과 조선 후기의 작가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텍스트론을 비교한 연구이다. 이 두 사람은 모두 천지의 삼라만상 일체가 곧 가장 근원적인 텍스트라고 생각했다. 이 ‘원초적 텍스트’를 두고 요연과 박지원은 각각 ‘無字書’(글자 없는 책), ‘不字不書之文’(문자로 쓰이지 않은 글)이라고 했다. 이 원초적 텍스트는 삶 전체와 관계하는 텍스트이자 끊임없이 생성하고 생성되는 텍스트이다.
    본고는 원초적 텍스트에 대한 이 두 사람의 생각을 ‘원초적 텍스트 이론’이라 명명하고 비교 연구를 수행했다. 원초적 텍스트가 어떤 특징을 지는가, 원초적 텍스트 이론 밑바탕에는 사물에 대한 어떤 태도가 깔려 있는가, 원초적 텍스트 이론은 현실세계에 대응하여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는가, 원초적 텍스트 이론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등의 문제가 본고에서 논의된다. 이런 문제에 대한 비교 고찰을 통해 본고는 동아시아적 시각 속에서 요연과 박지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균형 있게 파악하고자 했다.
    요연과 박지원의 ‘원초적 텍스트 이론’은 ‘인간’과 ‘사물’의 관계 내지 ‘인간’과 ‘세계’의 관계, 그리고 ‘문명적인 것’ 내지 ‘문화적인 것’과 ‘자연적인 것’의 관계에 대한 근원적인 통찰을 담고 있다. 이 점에서 이들의 텍스트론은 존재론적 깊이와 문명론적 전망을 담지한 ‘성찰적 담론’으로, 새로운 텍스트론을 모색하기 위한 동아시아 공동의 토대가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a comparative research into the text theory of Liao-Yan(廖燕, 1644~1705) and Park, Ji-Won(朴趾源, 1737~ 1805). They thought that all beings in the world are the original text. Liao called this 'archi-text' as ‘無字書’(the book without words) and Park called it as ‘不字不書之文’(the sentence not written in letters), both of which imply that the most vivid and creative literature have already been inscribed in nature and all beings in the world. This archi-text is not mere literature nor philosophy. It is the text which relates to the life. It unceasingly creates and is being created.
    I call their thinking about the archi-text as the Archi-Text Theory. I deal with these problems: what is the character of the archi-text? which attitude toward all beings in the world is presupposed in the Archi-Text Theory? how was the Archi-Text Theory developed and unfolded and expanded in the East-Asia? how did the Archi-Text Theory answer to the real life-world?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into these problems, I try to grasp the common featur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East-Asian perspect.
    Liao and Park's Archi-Text Theory can be the common ground on which the new East-Asian text theory can be established. In order to grope for the possibility of the East-Asian text theory, and to read their text theory creatively in a critical mi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ir common groping. Their Archi-Text Theory contains the profound and deep spec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ing and all the other beings in the world, an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nd 'the natural.' In this respect, their text theory is not intended by mere intelligent curiosity. It is the speculative discourse which have ontological depth and perspective on the possibility of the new civilization. Therefore it can be accepted as the speculative discourse of hic et nun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