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특성의 일 고찰 - 윤대녕 장편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를중심으로 - (Renewal of Being by Mythical Ritual in Yun Dae - nyeong’s Nove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특성의 일 고찰 - 윤대녕 장편 &lt;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gt;를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1호 / 355 ~ 382페이지
    · 저자명 : 한점돌

    초록

    신화라 하면 대개 신적 존재 또는 비범한 영웅과 관련된 아득히 먼 옛날이야기로 현대의 우리와는 별 관련이 없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윤대녕은 신화의 근본 원리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소설을 써냄으로써 신화가 고대의 유산에 그치지 않고 현재에도 서사의 지속적 원동력이 될 수있음을 입증하고 있는 작가이다.
    윤대녕이 작품을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한 것은 직선적 발전사관이 위기에 봉착하고 전문단적으로 새로운 문학적 패러다임을 찾아야 하는 과제에직면한 90년대 소위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였다. 이러한 시점에 윤대녕에게는 본인의 표현을 빌면 ‘분명 행운에 속하는 일’이 일어나 신화와 샤머니즘에 접하고 이에 빠지게 되는데 이는 곧 순환적 원형적 시간관을 발전사관의 대안으로 선택하게 되었다는 의미인 것이다.
    근대 이후 당연시 되어온 직선적 시간관과 달리 신화는 세상에 새로운것은 아무 것도 없으며 모든 것이 동일한 원초적 원형들의 반복에 불과하다는 순환적 시간관에 입각해 있다. 또한 사회 발전에 관심을 두는 역사적인간상 대신에 신화는 세계와의 일치 속에서 행복을 구가하는 조화적 인간상을 제시한다.
    신화적 삶에 있어 역사란 세속적 시간의 퇴적에 불과하며 그것은 세속적 제도와 관습에 의해 자연의 생명력이 줄어들고 찌들어 활력을 잃어버리게한다. 그러므로 활력을 돋우고 생명력을 재생시켜 풍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세속적 시간을 정화시키는 제의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원초적 신화적 시공 즉 신화세계로 주기적으로 회귀케 하는 통과제의이다이러한 신화적 세계관을 새로운 대안으로 선택한 윤대녕은 문학을 ‘신화의 기술적(記述的) 상관물’로 보는 관점에 입각하여 ‘시간의 퇴적으로 인한황무지적 현실에서 원초적 시원에의 회귀를 수행함으로써 신생의 활력을되찾는 과정’을 서사화하는 소설 창작방법론을 고안하게 된다.
    그리하여 장편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는 상처받은 자아가 존재의시원인 바다 혹은 구석기인의 발자국 화석이라는 유적 존재의 시원으로 회귀하여 존재를 쇄신하고 새 삶을 찾는 이야기로 나타났다. 이 작품은 비록현대인의 외피를 입고 이야기가 전개되지만 주기적 태초 회귀로 신생의 활력을 도모하던 신화적 재생의례와 구조적 상동관계에 놓여 있다.
    이처럼 <호랑이는 왜 바다로 갔나>는 문학이 ‘신화와 제의의 기술적 상관물’이라는 명제에 닿아 있는 윤대녕 창작법을 그대로 구현한 소설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과 이러한 창작법이 맺고 있는 관계망의 스펙트럼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타의 소설들에 대한 고찰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동일성에 입각한 신화적 소설들의 문학사적 평가 역시 이질적인 시대 대응방식의 소설들과 견주어 보는 다른 작업에서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영어초록

    Yun Dae-nyeong, one of the noted novelists since 1990’s has written the works that applied the principles of myth to recent fiction continuously. But these aspects are not results of accident but of efforts to overcome the anomie situation after collapsing of modern historic concept.
    According to modern concept of history, especially socialism history is characterized by world development and our only duty is to struggle for achievement of historical goal as early as possible. But this belief disappeared in company with collapsing of the East European bloc and many people were at a loss what to do.
    Then Yun Dae-nyeong selected the mythical time view of rotation in this chaotic situation. By mythical view there is nothing new in this world and all is nothing but a repetition of same Archetype. So history as accumulation of secular time has not any meaning and rather decrease the natural vitality by social system or custom.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purify the secular time periodically by recurring to first mythical world. That is called as rites of passage.
    In mythical vision is purpose of life not to fight for social development but to sing the praises of paradise just like an infant nestling in its mother’s breast. So Yun Dae-nyeong seems to gain the composition of fiction that character in ruined situations seeks to recurring to first start point and regain the renewal of being.
    According to above composition did Yun Dae-nyeong write the novel Why Tiger Went To Sea, which is the work that several mentally wounded characters recurred to the sea or footprint fossil of a Paleolithic Age man as a origin of being and then regained the will to live by way of renewal of being.
    Yun Dae-nyeong’s these attempts to apply myth to fiction can be estimated in some degree, but its entire success or failure in literary history depends on time spirit tot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