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개신교 신앙과 사회의식 :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차이 없음”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연구 (Korean Christian Faith and Social Consciousness: A Study on the Meaning of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Equality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3.05
24P 미리보기
한국 개신교 신앙과 사회의식 :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차이 없음”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4호 / 787 ~ 810페이지
    · 저자명 : 이민형

    초록

    “공정”이 근래 한국 사회에서 가장 큰 화두로 자리 잡으면서, “평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모든 인간은 존엄한 존재이며 그 대접에 있어 차별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명제는 시민사회의 초석이자 동시에 종교적 가치의 발현이다. 그렇다면, 기독교 신앙은 평등의 사회적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 이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에서는 개신교인, 비개신교인 각 1,000명을 대상으로 평등 의식 조사를 시행하였다. 애초의 기획은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정치 성향과 종교 성향을 구분하고, 각각의 성향이 그들의 평등 의식과 평등 감수성에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하지만, 조사 결과 일부 특정 사안을 제외하고,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신앙/종교성은 그들의 평등의식에 큰 변수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평등 의식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신앙/종교성이 평등 의식의 차이를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결과는 연구원들에게 다소 충격을 주었다. 결국 설문자들의 종교 성향에 대한 조사는 애초의 기획과는 달리 응답자들의 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아닌, 평등 의식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해석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해야 했다.
    과연, 개신교인과 비개신교인의 평등 의식의 “차이 없음”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차이 없음”에 대한 일방적인 긍정이나 비판은 지양한다. 대신 한국 기독교의 교리, 제도, 그리고 문화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신앙 의식 조사 결과를 근거로 그들의 종교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특별한 사회의식으로 발전하지 않는 이유를 분석한다. 더불어 비개신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기독교 및 개신교인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현대 한국 개신교인들의 신앙이 가진 사회적 의미와 한계를 고찰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인들의 신앙과 사회의식의 현재를 밝히고, 앞으로 한국교회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주제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As “fairness”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Korean Society, people als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equality.” The proposition that all human beings are dignified and should be treated equally is the basic logic of civil society and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values. How, then, does the Christian faith affect the social practice of equality? To answer this question, Christ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Justice and Development surveyed 1,000 Korean Christians and 1,000 non-Christians each on their consciousness of equality. The initial plan for this survey was to 1) classify respondents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and religious affiliations and 2) examine how those affiliations affect their sense of eq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however, the religiosity of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did not work as a variable in their equality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equality between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Researchers were shocked to find that Christian faith or religiosity cannot make any difference in Christians’ consciousness of equality. Inevitably, they use the survey results asking respondents’ religiosity as evidence to interpret “no difference” rather than as a variable.
    What does “no difference” mean? This study rejects overly positive or critical evaluations of this result. Instead, it examines Korean Christians‘ religiosit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s, institutions, and culture of Korean Christianity. It figures out the reason why their religiosity does not develop into a particular social consciousness.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non-Christian respondents’ understanding of Korean Christianity and explor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Korean Christianity in Korean society. Ultimately, this reveals the current state of Korean Christians’ faith and social consciousness, and presents important topics that Korean churches should deal with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