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차이밍량과 홍상수 영화의 일상에 관한 존재론적 스토리텔링: <애정만세>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을 중심으로 (An Ontological Storytelling on Everydayness in Filmsof Tsai Ming Liang and Hong Sang-soo: focused on Vive L'Amour and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차이밍량과 홍상수 영화의 일상에 관한 존재론적 스토리텔링: &lt;애정만세&gt;와 &lt;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통일인문학 / 78권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Siegfried Kracauer)에 따르면, 영화는 대도시 현실과 대중적 주체를 연결하는 ‘내재적 친화성(inherent affinities)’을 지닌 재현수단이다. 이러한 매체적 특성이 반영된 아시아의 영화감독으로, 대만의 차이밍량(Tsai Ming Liang)과 한국의 홍상수를 들 수 있다. 주지하듯 두 감독은 현대자본주의 대도시에서 살아가는 소시민의 일상을 그들의 고유한 영화적 언어로 재현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차이밍량과 홍상수 감독의 초기작품인 <애정만세>(Vive L'Amour, 1994)와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1996)의 일상에 관한 존재론적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두 영화의 일상을 재현하는 요소로 (등장인물인) 타자, (이들을 둘러싼) 공간, (양자를 매개하는) 오브제라는 세 요소를 설정한다. 첫 번째 요소인 타자는 현대소비사회의 대도시 거리를 방황하는 플라뇌르(flaneur)를 지칭한다. 차이밍량과 홍상수가 그려내는 인물들은 관객에게 친근하면서도 낯설다. 그렇기에 관객은 그들의 일상을 따라가는 동안, 등장인물 모두가 현대자본주의 사회의 표면 위에 드러난 우리 자신임을 깨닫게 된다. 두 번째 요소인 공간은 인물들의 욕망 구현의 공간으로 설정되면서, 일상의 공간이 비일상적 공간으로 변모함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세 번째 요소인 일상의 오브제들은 인간의 본능과 욕망의 환유적 장치로 활용된다. 차이밍량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욕조와 물, 그리고 홍상수 영화의 술과 같은 오브제는 인간 존재의 본질과 연관된 상징적 시각이미지들이다. 이러한 일상적 요소들로 인해, 관객은 영화 속 타자들의 삶을 쫓으며, 인간 존재를 관찰하고 사유하게 된다. 타자, 공간, 오브제라는 일상적 요소를 통해 재현되는 두 영화는 우리의 이야기, 즉 인간 존재에 관해 스토리텔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차이밍량과 홍상수의 영화는 고독, 불안, 욕망 등의 비존재(not-being)를 밀어내지 않으며, 오히려 그들을 존재 안으로 끌어안는 존재론적 스토리텔링에 다름 아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Siegfried Kracauer, film represents inherent affinities between an real of big city and popular subject. The two representative film directors are Tsai Ming Liang in Taiwan and Hong Sang-soo in Korean. As everyone knows, two directors represent everyday life of citizens in a big city with their own language. This article explores an ontological storytelling on everydayness in two films, Vive L'Amour(1994) and The Day A Pig Fell Into The Well (1996) For this, the Other, the space, and the objet to show it. The first element is the Other, which means flaneur who wander the street in modern society. They are both familiar and strange as well. It causes that audience feel them as themselves. The second element is space. Two directors make several spaces as the spaces achievement of desire and they have been changed to special ones. The various object are Final elements which are utilized to metonymic functions. Especially bath and water in Tsai Ming Liang’s films and alcohol in Hong sang-soo’s films are related to the essence of human beings. For these reasons, audiences chase their daily life and observe and think about human. The two films represented daily elements such as the Other, space, and objet tell our daily life. Thus we can say that the films of Tsai Ming Liang and Hong Sang-soo are an ontological storytelling that include the not-being like solitude, anxiety, and desire. rather than exclude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통일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