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단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및 브랜드네이밍전략 -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age and Brand Naming Strategy of Agricultural Co-brand in a Local Government - Focused on Agricultural Brand Mark of ChungNam Province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3.09
12P 미리보기
지방자치단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및 브랜드네이밍전략 - 충남지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1권 / 4호 / 5 ~ 16페이지
    · 저자명 : 김신애, 이점수, 권기대

    초록

    공동브랜드란 도ㆍ시ㆍ군 등 지방자치단체 등과 같은 행정조직에 의해서 광역적으로 추진되는 것과 단일 생산자조직에서 연합하여 하나의 브랜드화를 추진할 때 를 말한다. 이러한 농ㆍ특산물 공동브랜드의 개발 목적은 각 지역에서 생산되는 농ㆍ특산물의 품질을 균질 및 일관성 하에 공동선별ㆍ공동출하ㆍ공동정산이라는 총괄적 시스템을 통해 구매자들에게 공동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고시키는 동시에 공동브랜드의 신뢰를 제공하여 그 농ㆍ특산물의 수요를 진작시켜 농가소득과 지역경제의 촉진에 있다. 연구의 방법은 2차 자료에 의한 선행연구의 검토와 소비자와 브랜드의 관계이론 속에 충청남도 15개 지역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공동브랜드들을 전수 조사하여 공동브랜드의 이미지와 브랜드 네이밍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첫째, 개발된 공동브랜드는 지역의 생산농가와 소비자들의 신뢰 속에 브랜드로서의 기능을 잘 활용되고 있는 공동브랜드가 있는 반면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공동브랜드의 네이밍(naming)만 개발되었을 뿐 브랜드의 정체성(brand identity)을 확보하지 못한 유명무실한 공동브랜드들도 상당수 확인되었다. 둘째,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된 공동브랜드들은 공동브랜드 승인대상 품목에 대한 일관된 품질관리 매뉴얼관리와 사용 농업 경영체를 엄격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전담조직이 미비하였다. 요컨대, 공동브랜드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역 농ㆍ특산물에 대한 유ㆍ무형의 자산적 가치를 제고시켜 지역경제 활성화와 최근 건강 및 힐링(healing)의 붐으로 귀농ㆍ귀촌에도 큰 영향관계를 낳을 수 있으므로 단순히 지방자치단체의 일회성 전시효과용으로 개발되지 않도록 경계할 필요가 있으며, 더 엄격하게 공동브랜드에 대한 지역공동체의 이해관계를 높이기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 관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brand naming strategy of co brand with regard to agricultural goods which developed and operated in a local government of chungnam province. Research methods used to analyzed secondary data of newspaper, report and interview with a person in charge of co brand in a local government. and explained on consumer and brand relationship theory. Co-branding, also called brand partnership, is when a local government form an alliance to work together, creating marketing synergy for related producing farmer's income and welfare which live in a local region.
    In the empirical data research, we found that harmony between brand image and brand naming would have a positive affect brand identification and consumer's brand trust of tangible and intangible. That is, the stronger consumer-brand relationship, the greater brand loyalty is likely to be. Building on the results,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 brand users interested in securing loyal customers and ensuring more efficient sales growth as well as offered valuable information for setting up right direction for brand marketing strategies and goa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