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밈과 신조어로 읽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부족주의—남초 커뮤니티의 정서적 평등주의와 위임된 성장서사 (Tribalism in the internet community reading Memes and neologism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2.06
35P 미리보기
밈과 신조어로 읽는 인터넷 커뮤니티의 부족주의—남초 커뮤니티의 정서적 평등주의와 위임된 성장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중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중서사연구 / 28권 / 2호 / 59 ~ 93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성

    초록

    본고는 2000년대 이후 남초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발생한 밈(meme)과 신조어의 활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밈과 신조어를 통해서 구성되는 언어사용자들의 정치적 무의식을 간접적으로나마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며, 크게는 단순한 언어사용 이상으로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형성된 압축적인 세계인식을 체화하거나 재인식하는 이야기 형식으로 살피는 것이다.
    우선 디시인사이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밈의 발생과 유포가 인터넷 커뮤니티에 소속감을 획득하기 위한 증표처럼 활용된다. 타인과의 의도적인 구분짓기를 수행하는 다양한 밈의 활용은 그 의도를 떠나서 언어적 효능감에만 집중함으로써 혐오 표현들을 정당화하게 된다. 모든 것을 유머의 효과로 환원하는 것만이 부족주의의 소속감을 획득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언어적 수단이다. 타인을 향한 구분짓기와 손쉬운 대상화를 통해서 인터넷문화는 편의적인 대안세계의 위상만을 가지게 되었다.
    단순히 타인에 대한 구별짓기만이 아니라 오히려 자기비하를 통해서 타인에 대한 적극적인 비하를 정당화하는 경향도 생겨난다. ‘슬픈 개구리 페페’를 중심으로, 루저(loser)로서의 자기정체성과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을 포함한 커뮤니티 이용자들 모두를 사회적인 아웃사이더이자 패배자로 규정하는 포괄적인 밈이 활용된다. 이러한 시도들은 대안세계에서의 정서적인 평등주의를 통해서 스스로를 위안하는 마조히즘적 제스쳐다.
    다른 한편으로 남초 커뮤니티의 ‘우리형’ 문화는 현실세계에서의 능력주의 성장서사에 대한 대립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밈이다. 우리형은 전통적인 아버지와 달리 친근하고 권위적이지 않은 유머능력의 소유자로서, 인터넷문화에 새롭게 등장한 대타자의 위상을 가진다. 랩퍼 ‘염따’의 경우처럼 많은 팬덤이 그를 통해서 오히려 능력주의 시대에 반대되는 성공사례를 구성하며 위임된 성장서사를 향유한다. 불확실하고 힘든 자신의 성공이 아니라 수많은 우리형들에 대한 감정적 투사를 통해서 빠르고 편하게 성공하는 편의적인 대리만족을 추구하는 양상이다.
    인터넷 부족주의와 그 안에서 형성된 과도한 소속감, 그리고 현실세계에 대한 방어적 환상들이 모든 ‘실패’와 ‘손해’를 지나치게 과대평가하는 기제처럼 작동하고 있다. 따라서 일련의 밈의 활용과 그에 따라 구성되는 대안 세계의 이야기 구조는 온전히 자신이 감당해야 실패와 손해를 미리 방어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인터넷 세대의 몸부림처럼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be able to indirectly materialize the political unconscious of language users composed through memes and neologisms by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memes and neologisms that have occurred mainly in the a male- dominated community since the 2000s. As such, it is to examine the compressed world perception form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in the form of a story that embodies or re-recognizes it.
    First of all,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various memes centered on DC Inside is used like token to acquire a sense of belonging to the Internet community. The use of various memes for intentionally discriminating from others justifies hate expressions by focusing only on linguistic efficacy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s. Reducing everything to the effect of humor is the most powerful linguistic means of acquiring a sense of belonging to tribalism. Through differentiation towards others and easy objectification, Internet culture has only had the status of a convenient alternative world.
    Rather than simply discriminating against others, there is also a tendency to justify active demeaning of others through self-deprecation. Centering on ‘Pepe the Frog’, a comprehensive meme is used that defines one’s identity as a loser and active use of this to define all community users, including himself, as social outsiders and losers. These attempts are masochistic gestures that comfort themselves through emotional egalitarianism in the alternativ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Our Brother’ culture of the a male-dominated community is a meme that is used to play a role opposite to the meritocracy’s growth narrative in the real world. Unlike his traditional father, ‘Our Brother’ has a friendly and non-authoritarian humor, and has the status of a new big other in internet culture. As in the case of the rapper ‘Yumdda’, many fandoms enjoy the entrusted narrative of growth by constructing a success story opposite to the meritocracy era through him. It is the aspect of pursuing convenient surrogate satisfaction that succeeds quickly and comfortably through emotional projection on numerous hyungs rather than through uncertain and difficult successes.
    Internet tribalism, excessive sense of belonging, and defensive illusions about the real world are acting as a mechanism to overestimate all “fail” and “damages”. Therefore, the use of a series of memes and the story structure of the alternative world constituted accordingly seems to be the struggle of the Internet generation to prevent and minimize failures and damages in advance when they must fully bear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중서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8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