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삼 전집 미수록 시의 소개와 해제 ―「에즈라 파운드의 귀향」, 「식모의 고향」, 「어린이 시간」을 중심으로 (An Introduction and release of poems not contained in Kim Jong-sam's compete works ―focused on “Ezra Pound’s Homecoming,” “The Hometown of Housemaid,” and “The Children’s Tim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김종삼 전집 미수록 시의 소개와 해제 ―「에즈라 파운드의 귀향」, 「식모의 고향」, 「어린이 시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7호 / 73 ~ 104페이지
    · 저자명 : 신철규

    초록

    이 논문은 김종삼 전집에 실리지 않은 세 편의 작품, 「에즈라 파운드의 귀향」(≪신동아≫ 1969년 9월호), 「식모의 고향」(≪여성동아≫ 1970년 5월호), 「어린이 시간」(≪여성동아≫, 1971년 8월호)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 세 작품 모두 1970년 전후에 발표된 작품들이며 김종삼의 전체 시작품 세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들은 폐허와 고통으로 가득한 세계에 대한 예민한 지각과 함께 그것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미학적 실험 정신과 휴머니즘적 실존주의라는 대별적인 김종삼의 시세계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품 발표 침체기를 메우는 작품이라는 면에서 그 중요도가 낮다고만은 볼 수 없다.
    먼저, 「에즈라 파운드의 귀향」은 김종삼의 시와 산문 중에서 ‘에즈라 파운드’가 처음 등장한 작품이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이 시는 현대시를 기초하고 정립하였으며 예술에 대한 집념과 끊임없는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시와 예술의 첨단과 전위를 추구했던 에즈라 파운드에게 바치는 헌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언어와 사물이 밀착하여 사물에 대한 재현이 아닌 제시에 중점을 둔 이미지즘의 미학적 추구를 이미지의 불연속성과 돌연한 충돌을 기반으로 하는 ‘제작’이라는 작법으로 변용하여 보여준 시이다.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에 어떤 관념적 진술이나 판단을 개입시키지 않음으로써 이미지의 불연속성이 극대화된 김종삼의 시편들은 이러한 시론 또는 시작 태도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에즈라 파운드와 김종삼의 시적 영향 관계를 밝혀내는 작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시를 발굴·소개하는 것은 적잖은 의의가 있다.
    「어린이 시간」과 「식모의 고향」은 주제와 소재, 그리고 형식의 차원에서 비슷한 면을 보이고 있다. 두 시 모두 가난하고 불우한, 그래서 우리의 인식 바깥에 머물고 있으며 사회로부터 소외된 타자들을 그리고 있으며, 현실의 불균형과 비극적 상황을 드러내는 데 있어서 ‘비극적 아이러니’를 내포하고 있다. 「식모의 고향」이 표면적으로는 긍정적 언술이 지배적이지만 자신이 비판하는 것을 교묘하게 감추는 부정적 인식이 잠재되어 있는 ‘내적 아이러니’를 보여준다면, 「어린이 시간」은 작품의 흐름상의 반전의 효과를 추구하는 ‘구조적 아이러니’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특히,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발표되기 시작한 「장편」 연작은 외적 시점과 내적 시점을 병합적으로 취하는데, 「어린이 시간」은 그러한 양식상의 특징을 예고하는 시편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roduces three pieces of works not included in Kim Jong-sam’s complete works. “Ezra Pound’s Homecoming(에즈라 파운드의 귀향, September 1969),” “The Hometown of Housemaid”(식모의 고향, May 1970), and “The Children’s Time”(어린이 시간, August 1971). All three works were published before and after 1970, and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a cross-section of Kim Jong-sam’s poetic world. These works represent his poetic orientation that cognize sensitively the world full of ruins and pain and react it by the aesthetic experimental spirit and humanistic existentialism. What is more that are important in terms of filling the gap in releasing works.
    First, “Ezra Pound’s Homecoming”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piece of work in which "Ezra Pound" appeared among Kim Jong-sam’s poems and proses. The poem is dedicated to Ezra Pound, who founded and established modern poetry and pursued the high-tech and potential of poetry and art based on his persistent experimental spirit. It is also a poem that transforms the aesthetic pursuit of imagism, which focuses on presentation rather than representation of objects in close contact with language and objects, into a method called “making(製作)” based on discontinuity and sudden conflict of images. Kim Jong-sam’s composition methods, which maximize the discontinuity of images by not intervening any ideological statements or judgments between images, can be attributed to this poetics or poetic attitude. It is significant to discover and introduce the poem in that it can be linked to the work of proving poetic influences between Ezra Pound’s and Kim Jong-sam’s poetic world.
    “The Hometown of Housemaid” and “The Children’s Time” show similar aspects in terms of subject matter, theme, and form. Both poems represent the poor and deprived are staying outside our perception and are alienated from society, and contain “tragic irony” in revealing an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s of real world and tragic situations. “The Hometown of Housemaid” shows “internal irony” that positive speech is dominant on the surface but there is a latent negative perception, while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s Time” takes the form of “structural irony” that pursues the effect of reversal in the flow of the work. Through irony, he tried to shockingly reveal inhumanity and the miserable figure. In particular, “a very short piece of writing(掌篇)” series, which began to be published from the mid-1970s, take an external and an internal perspective together, and “The Children’s Time” is meaningful in that foretells such stylistic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