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autophagy 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cardiac muscle of high-fat diet fed ra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0.02
11P 미리보기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37권 / 1호 / 91 ~ 101페이지
    · 저자명 : 정재훈, 강은범

    초록

    이 연구는 비만이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고지방 식이(20주)를 통해 비만을 유도한 후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고, 자가포식의 유도, 형성 그리고 자가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를 조절하는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SD rat)은 20주 간의 고지방식이(탄수화물: 20%, 지방: 60%, 단백질: 20%)를 통해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주 5일, 하루 30분, 5분; 8m/min, 5분; 11m/min, 20분; 14m/min)을 실시하였다. 집단 구분은 정상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비교군(n=10), 고지방식이 운동군(n=10)으로 구분하였다. 8주간의 트레 드밀 운동 실시 전과 후에 경구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곡선 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을 산출 하였으며, 공복시 인슐린 농도와 포도당 농도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과 체중 당 복부지 방량(abdominal visceral fat/Body weight; AVF/BW)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심장 조직에서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을 분석하여 운동 트레이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장기간의 고지방식이를 통해 HFD-CON 그룹에서는 비만이 유도되었으며, ND-CON 그룹에 비해 체중, AUC, HOMA-IR, AVF/BW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8주간의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한 HFD-TE 그룹에서는 AUC, HOMA-IR, AVF/BW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의 경우, 감소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가포식 유도에 관여하는 mTOR와 AMPK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지만, 운동을 통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포식 형성에 관련된 Beclin-1, BNIP3, ATG-7, p62, LC3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을 통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포식포와 라이소좀 융합단계 조절하는 Cathepsin L과 LAMP2는 비만상황에서 모두 감소되었으며, 운동을 통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레드밀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은 대사성 질환에서 나타나는 병리학적 현상을 개선하고 자가포식 과정을 정상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트레드밀 운동이 심장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besity on the expression of autophagy-related proteins in cardiac muscle. To this end, obesity was induced in rats through 20 weeks of high-fat diet, and the animals were then subjected to 8 weeks of treadmill exercise.Subsequently, the expression of proteins that regulate the induction of autophagy, formation of autophagosome, and fusion of autophagosome and lysosome was confirmed. Obesity was induced in the experimental animals (SD rats) through 20 weeks of high-fat diet (carbohydrate: 20%, fat: 60%, and protein: 20%), and they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8 weeks of treadmill exercise (5 days/week, 30 min/day, 5 minutes; 8m/min, 5 minutes; 11m/min, 20 minutes; 14m/min). The experimental groups comprised the normal diet control group (ND-CON, n=10), high-fat diet comparison group (HFD-CON, n=10), and high-fat exercise group (HFD-TE, n=10).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8 weeks of treadmill exercise,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AUC) was calculated. Through fasting insulin and fasting glucose levels, HOMA-IR, which is an index of insulin resistance, and abdominal visceral fat/body weight (AVF/BW) were calculated for comparison. Moreover, autophagy-related proteins were analyzed from cardiac tissu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besity was successfully induced in the HFD-CON group through long-term high-fat diet, and the HFD-CON group had higher body weight, AUC, HOMA-IR, and AVF/BW compared to the ND-CON group. The HFD-TE group, which underwent 8 weeks of treadmill exercise, showed improvements in AUC, HOMA-IR, and AVF/BW. Although the body weight tended to decrease as wel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TOR and AMPK, which are involved in the induction of autophagy, both decreased in obesity but increased upon exercise. Beclin-1, BNIP3, ATG-7, p62, and LC3, which ar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autophagosomes, all increased in obesity and decreased after exercise. Cathepsin L and LAMP2, which regulate the fusion of autophagosome and lysosome, both decreased in obesity and increased up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including treadmill exercise, was found to induce normal autophagy and improve pathological phenomena observed in metabolic diseases. Therefore,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treadmill exercise as a primary means to achieve effectiv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ac dise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