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레니얼 세대 여성의 바(bar) 공간 소비 - 양가적 소비 욕구와 느슨한 연대 - (The Millennial Women at the Bar - Ambivalent Desire and Loose Solidarity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04
25P 미리보기
밀레니얼 세대 여성의 바(bar) 공간 소비 - 양가적 소비 욕구와 느슨한 연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콘텐츠연구 / 30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손민정, 남기범

    초록

    최근 바(bar)를 방문하는 소비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30대 이하의 방문이 두드러진다. 본 연구에서는 바 공간의 주요 이용객인 밀레니얼 여성의 바소비 특성과 소비 방식을 통한 생활양식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바 공간은 구성과 공간 내 상호작용의 특성이 다른 식음 공간과는 확연하게 구분된다. 외관보다 내부의 콘텐츠나 경험적 요소를 통해 손님을 유인하는 바는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소셜미디어와 모바일 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새로운 공간 소비 방식을 반영한다. 바에서는 바테이블과 바텐더의 존재, 술과 조명이 주는 분위기,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이미지와 공간에 형성된 규칙 등에의해 낯선 사람 간의 교류가 흔히 발생한다. 밀레니얼 여성은 바 공간을 소비하며자기 지향적 기호 소비의 경향을 보인다. 경제적 결정권을 가진 독자적인 소비 주체가 된 여성은 필요에 의한 소비뿐 아니라 자신의 욕망을 반영한 소비를 한다. 바를통해 세련된 취향, 구매력이 있는 독립적 소비 주체로서 이미지를 획득하고, 공간소비 경험을 소셜미디어나 주변 지인에게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밀레니얼 여성은 바 공간 소비 과정에서 양가적 소비 욕구를 드러낸다. 즉, 바공간 소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용에 호감을 느껴 이를 일상적으로 소비하고자 하나, 동시에 바 소비가 일상에 포섭되어 특유의 비일상성을 상실하는 것을 경계한다.
    나아가 소비를 통해 부족한 사적 공간을 대체하고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고자 하기도 하나, 동시에 사회적 교류를 원하는 양가적 욕망을 보인다. 밀레니얼 여성은 서로를 긴밀하게 묶어두는 전통적 관계를 거부하는 대신 상황에 따라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보다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며 가부장제에서 소모해 온 자원을 가정이 아닌 자신에게 쏟고자 한다. 바는 변화된 지위에 따라 밀레니얼 여성이 표출할 수 있게된 욕망과 소비 태도를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공간이다. 스스로를 경제적으로 책임지게 된 여성이 느끼는 불안감을 구매력의 재확인을 통해 잠시 잊게 해주는 망각의 공간인 동시에, 사회에서 느끼는 일상의 긴장을 해소하는 비일상의 공간이며, 공간내의 사람들과 교류하며 느슨한 연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공간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perspectives towards bar visiting of young South Korean Millennial women. By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2 bartenders and 9 millennial women customers, the findings highlight the Millennial women’s bar consumption behavior: First, the bar spac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staurant spaces due to the nature of its composition and interactions, reflecting that the millennials actively use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as digital natives to explore new spaces, and the rules already formed in the bar, resulting in the bars’ spatiality, where exchanges between strangers often occur. Second, millennial women show tendencies of ‘self-directed symbolic consumption’. They are independent consumers with sophisticated taste and purchasing power and try to form their own image by borrowing the image of space by sharing the experience with social media or acquaintances in the networks. Third, millennial women reveal ambivalent desire for loose social interactions while enjoying the private space and spending time on their own at the bar. The bar reveals the desire and new consumption attitude of millennial women who have financial means to consume what they want and spend their free time, where allows women to temporarily forget the anxiety felt by women, and relieves daily tension felt in society. As Millennial women’s educational level and This study explores perspectives towards bar visiting of young South Korean Millennial women. By employing in-depth interviews including 2 bartenders and 9 millennial women customers, the findings highlight the Millennial women’s bar consumption behavior: First, the bar space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staurant spaces due to the nature of its composition and interactions, reflecting that the millennials actively use social media and mobile devices as digital natives to explore new spaces, and the rules already formed in the bar, resulting in the bars’ spatiality, where exchanges between strangers often occur. Second, millennial women show tendencies of ‘self-directed symbolic consumption’. They are independent consumers with sophisticated taste and purchasing power and try to form their own image by borrowing the image of space by sharing the experience with social media or acquaintances in the networks. Third, millennial women reveal ambivalent desire for loose social interactions while enjoying the private space and spending time on their own at the bar. The bar reveals the desire and new consumption attitude of millennial women who have financial means to consume what they want and spend their free time, where allows women to temporarily forget the anxiety felt by women, and relieves daily tension felt in society. As Millennial women’s educational level 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콘텐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