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s Space Consumption)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3
17P 미리보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5권 / 1호 / 413 ~ 429페이지
    · 저자명 : 조윤설, 조택연

    초록

    지금의 소비 트렌드를 변화시키고 있는 소비자들은밀레니얼 세대라고 한다. 밀레니얼 세대들은 문화적인혜택을 많이 받은 만큼 미적 감각 및 감수성 또한 이전 세대와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높으며, 이러한 특징들이 지금의 핫 플레이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에 대한 연구와이들이 이용하는 공간 소비와 경험 소비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되어진 자료들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경험적 소비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주 소비층으로 부상하고있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공간 소비 특징들을 제시하여 앞으로 만들어질 소비 공간 디자인에 적용 할 수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선정을 위해 텍스톰이라는빅데이터 사이트와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상권-추정유동인구)를 이용하였다.
    실시한 결과 연남동, 을지로, 익선동으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지역에서 네이버 블로그 리뷰와 인스타그램에태그되는 건을 합한 결과 상위 3개의 카페를 선정하고, 공간 소비에서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명을 텍스트 마이닝하여 소비자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밀레니얼 세대들의 찾아가는 장소와 공간들을 살펴보면 밀레니얼 세대들의 경험적 소비 공간에서 분석된 결과 먼저, 심리적 요소에서는 밀레니얼 세대 특징으로 검색, 행동, 인증, 공유 순에서 검색과 행동에 대한 인식들이 분석 되었으며, 경험적 요소에서는 나만의 공간 욕구와 취향 및 가치에 대한 결과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소적 인식에 대해서는 인증, 공유에 포함되는 요소로 공간에 분위기를 신경 쓰며, 디저트의비주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외적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소비는 아끼지 않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징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 3가지의 경험적 공간 소비들의 공통점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디지털 매체를 적극 활용한 결과라볼 수 있으며,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는 다양한관계 형성의 수단과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즉,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밀레니얼 세대의 공간 소비에 관한 연구시 보다 다양한지역, 다양한 공간 종류, 인종 등을 고려하여 다각화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밀레니얼 세대(Generation)뿐만 아니라 각 세대(Generation)에 관련한 공간 소비 특징 분석에 대한지속적인 연구를 제시할 계획이다.

    영어초록

    Consumers who are changing the current consumption trend are called millennial generation.
    Millennial generations have been culturally benefited, so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sensibility are also incomparably higher than in previous generations, and these features are now being seen in the hot pla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ud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e space consumption and the experience consumption that they use, and the data collected by using the Big Data are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imed to present the spa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hich are emerging as the main consumers, and to serve as a guideline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consumption space design.
    We used Big Data site called Textom and our village store commercial analysis service (commercial district - estimated floating population) provided by Seoul city for the space selection of Millennium generation. As a result, the top three cafe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the Naver blog review and tagged in the Instagram.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consumption, Big Data We used text mining to identify the consumers’ perception.
    First, the perceptions of search and behavior in the order of search, behavior, authentication, and sharing were analyzed with the Millennial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the psychological factor, and the perceived place and spa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s were analyzed. In the empirical element, the feature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pursue novelness as a result of my own space desires, tastes and values have emerged. Finally, as for the place awareness, the atmosphere of the space was considered as the factor to be included in the certification and sharing, and the visual of the dessert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his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at consume consumption satisfying external gratification have appeared.
    The commonalities of these three empirical space consumption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active use of digital media as a digital native and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s a means of expressing various relationships and expressing oneself as a communication tool. In the future research on the spatial consump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regions, various kinds of spaces, and races. Based on this research, we plan to present continuous research on spac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ch generation as well as Millennial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