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 국가정체성 담론 비교: 아스투리아스의 『과테말라의 사회학. 원주민의 사회적 문제』와 코스타리카 정체성 담론 형성 과정에 나타난 인종개념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discourses on the national identities of Guatemala and Costa Rica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 focusing on the concept of race in Guatemalan Sociology: the )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9
48P 미리보기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과테말라와 코스타리카 국가정체성 담론 비교: 아스투리아스의 『과테말라의 사회학. 원주민의 사회적 문제』와 코스타리카 정체성 담론 형성 과정에 나타난 인종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56권 / 343 ~ 390페이지
    · 저자명 : 전용갑

    초록

    본 연구는 자유주의 개혁시기(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과테말라와 코스타 리카의 국가정체성 담론에 인종 개념이 어떠한 외연과 의미로 투영되었는지 비교, 분석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마야문명의 본산이었던 과테말라는 당시 중미 에서 원주민 인구의 비율(전체의 약 60%)이 가장 높았으며, 코스타리카는 역으로 이 지역의 대표적인 ‘백인국가’를 자처하고 있었다. 이처럼 현저히 다른 인종 구성에도 불구하고 두 나라는 국가정체성 모색과정에서 유사한 외연을 노정(露 呈)시켰다. 즉, 원주민이나 흑인은 물론 메스티소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백인’의 인종적 가치를 정체성의 핵심으로 설정했다는 점이다. 과테말라의 경우 사회다 윈주의와 우생학 등 실증주의적, 과학적 인종주의 사상의 세례를 받은 ‘1920년 세대’ 지식인들이 중심이 되어 ‘국가의 백인화’를 추구했으며 코스타리카는 소위 ‘올림포스 세대’가 ‘중미의 스위스’ 신화를 구축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두 나라가 표방한 국가정체성의 외연은 유사할지라도 그 내면의 의미에는 공통점과 더불어 차이점도 존재하고 있었다. 당대에 보편적으로 수용되던 ‘과학적 인종주의’사상의 영향은 공통분모를 이루었으나, 식민시대 이후 두 나라가 밟아 온 차별적 발전과정과 인종구성의 상이함에서 차이가 파생되었던 것이다.
    본고는 이 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두 나라 정체성 담론의 외형적 특징들을 일별하고, 그 이면에 내재하는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으로는 과테말라의 경우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의 청년기 논문인 『과테말라의 사회학. 원주민의 사회적 문제 Sociología Guatemalteca: el problema social del indio』(1923)를 중심으로 ‘1920년 세대’에 속하는 주요 지식인들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코스타리카는 19세기 중반 이후 이 나라를 찾은 외국인들에 의해 ‘백인국가’ 신화가 유포, 형성되는 과정과 이러한 ‘상상의 공동 체’를 공식화하려 했던 ‘올림포스 세대’ 지식인, 정치인들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race concept' reflected in speeches on the national identities of Guatemala and Costa Rica during the time of the Liberal Reform (which spanned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Guatemala, the cradle of the Mayan civilization, was known to be the country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indigenous population (more than 60% of the total population) in all of Central America, while Costa Rica was already known at that time as a 'white race' country.
    Although there was a visible difference in the ethnic compositions of the two countries, they both showed a similar form of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so-called 'bleaching of the nation’.
    Nevertheless, behind the similar external form of national identity that the intellectuals of both countries aimed to build,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stemming from the peculiarities of the historical-social development 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racial composition of each population.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national identities of Guatemala and Costa Rica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ve speeches of the time: in the case of Guatemala, with a focus on a thesis by Miguel Ángel Asturias and other discursive fragments of the 1920 Generation, while in the case of Costa Rica, with a focus on chronicles written by foreigners who visited the country from the mid-nineteenth century as well as the opinions of some intellectuals and politicians belonging to the Olympus Generation.
    Likewise, this study i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academic studies that have already been carried out by researchers in international academic circles, particularly the works of Casaús Arzú, Steven Palmer, Iván Molina, and Carlos Sojo, among others, since the subject at hand – Central American national identity – is yet to receive widespread attention in Latin American studies in Korea. This work is thus expected to hold bibliographical value and serve as a reference for future studies by Korean academ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