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농민들의 ‘棄民化’와 탄광 소설 - 안회남의 탄광귀향소설 및 우에노 에이신[上野英信]의 「집오리의 노래」(1953)를 중심으로 - (How did Farmers Become a Forsaken People before and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5.11
61P 미리보기
식민지 농민들의 ‘棄民化’와 탄광 소설 - 안회남의 탄광귀향소설 및 우에노 에이신[上野英信]의 「집오리의 노래」(1953)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63호 / 33 ~ 93페이지
    · 저자명 : 신지영

    초록

    본 논문은 식민지기 조선의 탄광 징용 노동을 통해, ‘식민지의 농민들은 어떻게 (노동자가 되는 동시에) 기민이 되는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해방 후 귀향의 꿈이 좌절당하고 국민국가에 속할 수 없는 기민이 된 이들이 탄광 주변의 ‘아리랑 고개’에 흘러들어 異族 간의 코뮌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연구 대상은 식민지기 탄광 징용 및 귀향의 양상을 다룬 안회남의 단편소설(1945년 9월~1946년 8월)과 일본의 영세한 탄광이나 탄광 주변부를 주제로 소설을 쓴 우에노 에이신[上野英信]의 「집오리의 노래[あひるのうた]」(『地下戦線』, 1954.3)이다. 이 두 소설은 식민지 말기~해방직후의 시기를 자전적이고 르포적인 방식으로 그리고 있다.
    탄광 강제 노동을 다룬 안회남의 해방직후 단편들의 주인공들은 주로 남쪽 농민들로 갑작스럽게 탄광의 이질적인 노동, 식민지배의 황민화 교육, 강제 수용소 같은 주거환경에 놓여진다. 즉 식민지 조선의 농민들은 이러한 갑작스런 ‘이동’에 의해 노동자가 되고, 그 순간 기민이 된다. 강제 노동의 외부를 상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소설 속에는 끊임없이 ‘도주’의 이야기가 나오고 이는 실제로 탄광 징용 노동을 했던 사람들의 증언들과 일치한다. 이때의 ‘도주’란 벗어날 수 없는 ‘죽은 노동’에서 벗어나 또 다른 삶을 추구하는 것이자 그러한 감각을 일깨우는 행위였다.
    한편, 해방 직후 고국이나 고향으로 귀향을 시도했던 자들이 부딪혔던 귀향 불/가능성의 여러 양상을 제시했다. 또한 우에노 에이신의 「집오리의 노래」의 배경이 된 ‘아리랑 고개’에는 해방 후 탄광에서 갑자기 쫓겨났으나 여비가 모자라서, 불구자가 되어서, 탄광에 부인이나 가족이 있어서 귀향할 수 없는 기민들이 모인다. 또한 1953년 조선 전쟁 휴전 이후 탄광 생산량이 저하됨에 따라 구조조정 당한 일본인 탄광 노동자들이 아리랑 부락으로 흘러 들어와 재일 조선인과 뒤섞여 이족간의 코뮌을 형성한다.
    이처럼 탄광 징용 노동에서 빈번히 발생한 ‘도주’, 해방직후 형성된 이족 코뮌은 조선의 농민이 노동자가 되는 동시에 기민이 되어가는 상황을 드러낸다. 또한 ‘도주’가 탄광 노동 전체에 야기했던 동요와 이족 코뮌 속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의 관계성은 ‘도주/귀향(의 좌절)’이 공동체 내부로의 ‘도주/탈주’가 되어 공동체 내부를 변화시켰을 잠재성을 드러낸다.

    영어초록

    This paper makes a research on the lives of the coal-miners conscripted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sk a question how they fell into a deserted or forsaken status. After the Independence, the miners found their dream to go home shattered up, and they couldn't find any state-nation which they could affiliate to. Thus they had to form heterogeneous communes with poor Japanese in the coal mining regions like so-called Arirang Village, when they were left without any place to go. To show these processes, I treat the short-stories of An Hoe-nam published from September, 1945 to August, 1946 and Songs of Ducklings and Underground Fronts written by Ueno Eisin (March, 1954), all of which deal with conscripted coal miners and their homecomings in the period. The writers described the processes autobiographically in the form of reportage.
    According to the short stories of An Hoe-nan, the conscripted coal miners in Chikuho coal mines were mainly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Those farmers unfamiliar with coal mining had to meet with embarrassing colonial and imperial educations (Japanization education) and hard working in the labor camps. The unexpected and forced migration of the farmers of the colonial Korea put them into the status of coal laborers and the forsaken people simultaneously. Here and there, the short stories describe the reckless but continuous attempts of flights or abscondences that the ex-farmers and mine-workers made without knowing about the outside world of coal-mines. And the description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witnesses. The flights were their attempts to escape from the forced hard labor which was leading them toward death and to seek out new forms of lives. The news of the attempted flights awakened the will to live in the minds of the draftees as well.
    Shortly after the Independence, the miners who had been conscripted but now forsaken could not avoid obstacles and hardships when they tried to go home or to their own country. I deal with the many aspects of the (im)possibilities to return home. In Songs of Ducklings, and Underground Fronts, Ueno Eisin describes the Korean people who had to come back again to the mining regions since they had no money to go home, they were physically handicapped, or some of those who had married Japanese women could not desert their Japanese wives and families. They gathered around the mining regions again and formed new villages. Furthermore, into the villages came the Japanese miners who were dismissed after facing redundancy at the end of the Korean War. So the villages with unemployed, dismissed, laid-off workers were intermingled with ethnically different people and formed themselves into multi-ethnic communes.
    The frequently attempted flights and the ethnically intermixed communes involve the way in which the Korean farmers became mine laborers and again forsaken people. The failures and rare successes in flights gave rise to disturbances in the labor camp and the multi-enthic villages developed new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he disturbances and relationships were interiorized in the minds of villagers. And, in turn, the failure and frustration of flight/returning-home drove the forsaken to "take flight" or to "escape" or hide into the very heart of the village. Thus we can also find the potentialities for the affects to change the inner communal structures 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