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玉局齋 李運永 가사에 보이는 地方民에 대한 시선: <淳昌歌>와 <林川別曲>을 중심으로 (Okgukje Lee Un Young’s point of view toward local people in his Gas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11
32P 미리보기
玉局齋 李運永 가사에 보이는 地方民에 대한 시선: &lt;淳昌歌&gt;와 &lt;林川別曲&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35권 / 283 ~ 314페이지
    · 저자명 : 신성환

    초록

    본고의 목적은 18세기 대표적인 京華士族 중 한명인 玉局齋 李運永의 <슌챵가>와 <임쳔별곡>을 중심으로 그의 地方民에 대한 시선을 살피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운영이 서울을 중심으로 생활하고 활동했던 경화사족이었다는 점에 무게를 두고 작품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당대의 경화사족들은 문화적 우월감을 토대로 지방을 낮추어보는 경향이 있었다. 즉 오리엔탈리즘으로 요약되는 서양과 동양의 지방민들의 일상사를 위 두 작품에도 가사 작품에서도 이러한 경화사족으로서의 면모가 나타난다. 지방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을 저변에 깔고 있던 이운영에게 지방민들의 일상적 사건은 때로는 우스꽝스럽기도 하고 또 때로는 황당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하지만 두 작품에서 동일한 시선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슌챵가>는 작품에서 다루고 있는 사건의 성립-송사의 성립- 자체가 주는 황당함에서 자신과 그들을 구분하는 이분법적인 시선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임쳔별곡>에서는 지방민들도 유교윤리의 내면화라는 문명의 단계로 진입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덜 문명화된 모습을 포착하는 혼종된 시선이 나타난다. 이러한 차이는 두 작품 사이에 있는 20년이라는 창작 시점의 간극에서 원인을 유추할 수 있다. 작가가 그 시간동안 지방의 수령을 지내면서 지방민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기에 작품에서도 그 변화가 반영될 수 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into Okgukje Lee Un Young’s work <SyunChangga> and <Imcheonbyulgok> as his eyes on the local people who is a representative of Kyunghwasajok in 18th century. This paper tries to approach his works based on the fact that Lee Un Young was a Kyunghwasajok who lived and worked in Seoul. Members of Kyunghwasajok tended to look down of local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erspective of Kyunghwasajok that the daily life of western and eastern local people which summarized orientalism in these two works and other Gasa. To Lee Un Young who has a cultural superiority over local, the daily life of local people sometimes looked ridiculous and absurd. However, the point of his view is not exactly the same between these two works. In <SyunChangga>, we can find a dichotomous view that he distinguish between himself and them in ridiculous way to look at the incident itself. However, it shows a confused vision that local people enter the civilized society influenced by Confucian ethics but still it appeared less civilized in <Imcheonbyulgok>.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works comes from 20 years of time-gap.
    While those years, the author became a governor which meant he was able to understand the local people better, and that influence his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