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람직한 콘텐츠 발굴의 첫걸음 - 전통문화에 내재한 지역민의 원형(Archetype)과 정체성(Identity)찾기 - (First Step in Discovering preferable Contents: Finding Local Residents’ Archtype and Identity - Focused on Pyeongchang area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5.12
32P 미리보기
바람직한 콘텐츠 발굴의 첫걸음 - 전통문화에 내재한 지역민의 원형(Archetype)과 정체성(Identity)찾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71호 / 381 ~ 412페이지
    · 저자명 : 강명혜

    초록

    지역의 사회, 역사, 문화적 배경 및 지역민의 소망이나 원망, 희망 등은 그 지역의 민속이나 문화, 구비문학 속에 깊게 스며들면서 직조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그 지역의 문화나 민속, 구비문학에는 그 지역민의 집단무의식이 적층되어 있다. 그 지역의 정신, 지역민의 염원이나 희망 등 그 지역의 아키타입이나 아이덴티티가 내포된 문화 축제가 조성되고 활성화될 때 비로소 뿌리 깊은 축제나 축전으로 자리매김할 것이고 전통도 쌓이면서 부가가치도 창출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의 아키타입이나 아이덴티티가 내재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가 개발되었을 때 어떤 결과가 수반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실제로 평창지역을 대상으로 해서 구비문화, 특히 설화를 대상으로 해서 평창민의 원형이나 아이덴티티를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서 콘텐츠나 스토리텔링을 개발할 수 있다는 표본을 제시했다.
    평창지역 구비물을 살펴본 결과 평창읍은 샘, 신기한 물, 봉황, 조리 형국 등으로 수해가 없는 평안한 땅, 미탄면은 은혜 갚는 이야기, 망월놀이, 방림면은 지킴이나 산삼 캔 이야기, 도깨비 담 등 횡재와 관련, 대화는 보은, 부귀와 관련, 봉평은 악을 물리치고, 부자 되고, 보은과 행운을 주는 것과 관련, 용평은 무엇인가를 물리친 이야기, 보은, 행운, 재산과 관련. 옥쇄가 있는 곳, 金鷄抱卵形, 진부는 보은과 관련, 특별한 혜택을 받음, 세조이야기, 만과봉, 약수, 도암(대관령)은 언제나 왕이 도래하는 곳, 발왕산, 용산, 명당 연하부수로 환원되고 있었다.
    스토리텔링과 관련되는 문화콘텐츠는, <율곡>의 경우는 ① 위기에서 구해주는 율곡 밤 개발, ② 평창에 와서 머물면 귀자를 임신한다.(율곡 및 이효석 잉태지), ③ 평창은 좋은 기운이 있어서 부를 획득한다, ④ 돈을 벌게 하는 금색 뱀(귀여운 캐릭터) 혹은 꼬마 용, ⑤ 율곡 아기 캐릭터 개발, ⑥ 애니메이션, 뮤지컬 개발-연출 중요, ⑦ 주막 콘텐츠-주막음식 및 향토적인 음식 판매, <태기 왕>의 경우는 ① 태기 왕 무예촌 구축-종합적인 콘텐츠 개발, ② 태기 왕 캐릭터 개발, 이를 뮤지컬이나 애니메이션으로 만듦 ③ 태기 왕 투구, 옥쇄, 옥대 등 상품화, ⑤ 옥쇄 찾기 등의 방향으로 개발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It is natural that social,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and wish, resentment and hope in the locality have profoundly soaked into and weaved the local folklore, local culture and oral literature. Therefore the local residents’ collective unconsciousness has stacked in the local cultur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When the culture festival with particularly local archetype such as local mindset, residents’s wish and hope is set and vitalized, traditional festival or celebration can be ranked and create added value building up tradition. This paper studies the archetype or identity of people in Pyeongchang targeting the region of Pyeongchang regarding oral literature and folktales in this area.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yeongchang is a peaceful land with no flood damage, spring, marvelous water, phoenix, strainer-shaped land. Mitan has had a folk tales about repaying one’s kindness and play of watching the moon. Banglim has had windfall-related stories about protection, digging up ginseng plants and a wall of hobgoblin. Dewha has had wealth-related stories and story about returning thanks for favors received. Bongpyeong has had folk tales related to returning thanks for favors received and forwarding good luck by defeating evil and becoming rich. Yongpyeong has had folk tales about defeating, returning thanks for favors, fortune, possessions, the place to be a royal seal and egg shape of gold chicken brooding. Ginbu has had story about returning for kindness, receiving the benefits, king Sejo mankwabong, mineral water. Doam (Daegwallyeong) has concluded by place of advent of King, Balwhangsan, Youngsan, Yeonwhabusu, as propitious site.
    Storytelling-related cultural contents have “Yulgok” and “King Tegi”. Contents of Yolgok have ① the development of Yulgok’s chestnut saving life in a crisis ② pregnancy of noble son in Pyeongchang (birthplace of Yulgok and Lee Hyoseok) ③ acquisition of wealth because of Pyeongchang’s good energy ④ golden snake (a cute character) or little dragon to bring in more money ⑤ development in the character of baby Yulgok ⑥ the importance of development and directing in animation and musical ⑦ contents of tavern such as selling of food at tavern and local food. Contents of King Tegi have been developed ① construction of martial arts village og King Tegi and development of general contents ② development in the character of King Kegi by making musical or animation ③ commercialization of King Kegi’s helmet, royal seal and belt ④ Finding of royal se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