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에 대한 분석: 에꾸메노, 인간, 자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Worldview of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s: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Ecúmeno, Humans and Natur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고대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에 대한 분석: 에꾸메노, 인간, 자연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35권 / 3호 / 137 ~ 167페이지
    · 저자명 : 김윤경

    초록

    이 논문은 에꾸메노와 피조물인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추어서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을 분석하고자 한다.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은 우주가 기본적으로 세 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두 개의 대립적인 힘이 상호 보완하면서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이원성을 바탕으로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에게 이 세상, 즉 에꾸메노는 신이 창조하고 지배하는 하나의 거대한 공동체였다. 신은 에꾸메노의 어디에나 존재하면서 모든 존재에게 신성을 부여하여 생명력을 갖게 했다. 그러므로 인간과 자연은 에꾸메노라는 공동체 안에서 모두 신성을 가지고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둘째, 신성을 통한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에 대한 믿음은 인간이 동물이나 자연 현상으로 변할 수 있다는 나우알리스모로 이어졌다. 인간이 나우알을 통해서 특정 자연 대상과 연결됨으로써 인간과 자연이 신성을 공유하게 되었다. 따라서 인간이 나우알이 된다는 것은 자연과 하나가 되어 소통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은 공존했다. 마지막으로,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은 이 우주와 세상의 모든 것이 다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 연결고리는 신들이었다. 신들은 에꾸메노의 사방에 세워져 있는 네 기둥과 가운데 있는 세계의 축을 통해서 안에꾸메노에서 에꾸메노로 지하세계로까지 이동하면서 이 우주에 있는 모든 존재를 연결하고 그들과 소통했다. 따라서,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에게는 신도 인간도 자연도 이 연결고리 속에서 서로 의존하고 도우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였다. 따라서, 신의 존재를 믿든 안 믿든 간에 메소아메리카 원주민의 세계관을 통해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은 연결고리가 무엇이든 간에 인간과 자연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 하나의 공동 운명체라는 것, 인간과 자연은 이제 더이상 개발하고 착취하고 정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보호하며 공존해야 할 대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자연과의 공존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worldview of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ecúmeno and humans as creatures and Nature.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believed that the universe was basically divided into three layers, and that two opposing forces were operating in a mutually complementary manner. Based on this duality, the worldview of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ha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for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this world, or ecúmeno, was a huge community created and ruled by gods. Gods existed everywhere in Ecumeno and gave all beings divinity and vitality. Therefore, humans and Natur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s divinities within the community called ecúmeno. Second, the belief i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through divinity led to nahualismo, which states that humans can transform into animals or natural phenomena. By connecting humans with specific natural objects through nahual, humans and Nature shared divinity. Therefore, for humans to become nahual meant to become one with Nature and communicate with it. In doing so, humans and Nature coexisted. Finally, the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believed that everything in this universe and the world was connected. The link was the gods. The gods connected and communicated with all beings in this universe by moving from the inner anecúmeno to the underworld through the four pillars erected on all four sides of ecúmeno and the axis of the world in the middle. Therefore, for the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gods, humans, and Nature were all beings who had no choice but to depend on and help each other in this link. In this light,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we believe in the existence of gods, what we must think about through the worldview of the Mesoamerican indigenous people is that humans and Nature are closely connected as one community of destiny, regardless of the link, and that humans and Nature are no longer objects to be developed, exploited, and conquered, but objects to be protected and coexisted with. Based on this change in perception, we must seek specific methods for coexistence with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베로아메리카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