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초기 민 인식의 변화와 언문을 통한 유교 문명화 (The Cognitive Change of the People and Confucian Civilization through the Korean Alphabe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12
28P 미리보기
조선 초기 민 인식의 변화와 언문을 통한 유교 문명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3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도현철

    초록

    본고는 여말선초 지배층의 달라진 민의 인식과 이를 통한 대민시책을 특히 문자를 활용한 교화 정책의 측면에서 확인하고 그 의미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여말선초의 지배층의 민의 인식이 달라진다. 정도전은 민은 국가의 근본인 동시에 군주의 하늘이라고 하여 군주보다 우위에 있는 민을 상정하고 천(天)이 곧 민이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국가의 피지배층인 하층민 노비에 대한 인식도 변하여, 노비는 천민(天民). 국민 인식이 생겼다. 노비를 포함한 피지배층 전체에 대한 인식이 그 이전과 달라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 인식 변화는 생산력 발전을 통한 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연관된다. 당시 농업기술의 발달로 생산력이 발전하고, 조세 부담이 완화되어 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다.
    조선 왕조는 유학의 예치와 덕치로 민을 다스렸다. 형률 위주의 강압적이고 외제적인 방법이 아니라 인정(仁政)에 기반을 둔 자율적인 민의 지배를 도모하였다. 이는 민의 의식의 성장과 조응하면서 민의 국가에 대한 자발적인 복종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조선은 문자를 통한 교화책을 제시하여 『삼강행실도』를 간행하였고, 형률서를 이두문으로 반역하여 백성들의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도록 예방에 노력하였다.
    세종은 더 나아가 백성을 위한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여 백성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신이 생각을 문자로 기록하고, 상대방에게 전달하여 개인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였다. 사림파는 세종의 언문창제의 뜻과 조응해서 한문책의 언해를 간행하여 민의 교화를 촉진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림파는 언해 대상의 선정과 해석을 주도하고, 지식의 공급자로서 지식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판관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사림파가 상위에서 민들과 함께 유교이념을 공유하면서 정치 권력자인 훈구파와 대항하려는 것이다.
    언해의 확대는 민의 의식을 추동하고 있었다. 민의 문자 생활은 즉흥적이고 일회적인 생각을 극복하고, 단순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한다. 곧 백성이 문자 생활을 통하여 억울함과 불합리에 대하여 의견을 개진하여 신분을 뛰어넘는 인간 상호간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였다. 이는 신분제 사회에서도 농민의 의사를 존중하고, 유교의 확산을 도모하며, 유교 문명화로 나아가는 길을 열어간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show that a public policy was based on the people's awareness which chang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the reformation policy using the Korean alphabet was implemented.
    The Joseon Dynasty suggested the reformation policy which attracted the voluntary obedience according as the people's awareness growed, and published the Three Basic Moral Codes(Samganghaesil-Do). In addition, the penal code was translated into Idu scrip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people from committing crimes.
    It is well known that Chinese was the source of a crucial source of intellectual power by which the ruling class maintained their vested rights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meantime, King Sejong created the Korean alphabet for the people so that they could express their thoughts. Furthermore, he published a book on ethics in order for the people to live morally.
    The Korean alphabet was driving the people's awareness in a direction not intended by the King Sejong. It led the people to overcome their spontaneous and one-off thoughts, and make it possible to express simple thoughts logically. The people could make a communication between human beings exceeding their status through raising questions on the unfairness and irrationality. This leads us to the conclusion that even the Joseon Dynasty’s caste system in a certain way respected the farmers' intentions, promoted the spread of Confucianism, and opened the way to Confucian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