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구의 동굴>에 나타난 몽골 유목민의 자연관 (Perspectives on Nature of Mongolian Nomad in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09.08
23P 미리보기
&lt;황구의 동굴&gt;에 나타난 몽골 유목민의 자연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39호 / 363 ~ 385페이지
    · 저자명 : 안숭범

    초록

    오늘날 관심이 높아가고 있는 유목민 소재 영화들은 현대문명에서 사라진 문화적 특징을 내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황구의 동굴>은 몽골 유목민의 자연관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연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본고는 우선 <황구의 동굴>의 전언을 서사맥락과 미장센의 측면에서 검출하였다. 그 결과 서사맥락에서는 몽골 유목민의 삶에 녹아있는 윤회적 자연관이 도출되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영화 속 삽입설화와 영화 전체의 서사는 같은 의미맥락으로 상응하였는데, 이들은 민간신앙과 결합된 티베트불교의 자연관을 드러내고 있었다. 한편, <황구의 동굴>의 미장센에서는 더욱 구체적으로 그들의 생태주의적 자연관이 현시되어 있었다. 실제 유목민 가족의 삶을 다큐멘터리적으로 담아낸 화면 덕분에, 영화 공간에는 유목민의 생태의식이 발현된 흔적이 뚜렷했다.
    이들 자연관의 의의를 검출하자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삶의 가능성에 있을 것이다. 영화 속 유목민 가족은, 그들이 자연으로부터 왔다는 것을 믿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갈 것도 믿는다. 자연과 한 몸을 이뤄 살아가는 존재로서 인간을 이해하고 있는 셈이다. 더 나아가 인간과 자연이 단지 '지금 여기'에서뿐만 아니라, 영속적으로 공존해야 할 공동 운명체라는 교훈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속도주의에 사로잡힌 현대의 도시문명을 반성할 때, 유목민의 의식과 현실에 밀착된 자연관은 반성적 성찰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몽골 영화를 민속학적 관심에서 논의한 경우는 전무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영화매체가 갖는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과 해외 영화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아직 편협한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앞으로는 영화를 통해, 낯선 민속문화와 관련한 담론이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films on nomads which are raising public interests these days contain extinguished cultural features in modern civilization. <The cave of the yellow dog> provides us the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perspectives on nature of Mongolian Nomads. For efficient practice of research, this paper analyzed out the message of <The Cave of the Yellow Dog> in narrative context and in aspect of mise-en-scene. In narrative context, transmigrational perspectives on nature was found. More specifically, inserted narration in the movie and overall narration of the movie have correspondence with the same meaning context and they showed the perspectives on nature of Tibetan buddhism combined with folk religion. On the other hand, in mise-en-scene of <The cave of the yellow dog> their ecological perspectives on nature is revealed more specifically. Thanks to the documentary-like pictures of real nomad family life, vivid marks of revelation of their ecological consciousness were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their perspectives on nature is the possibility of harmonious and balanced life. One nomad family members who were in the film believed that they have come from nature and they will return to. They understand human being as one with nature. Moreover, the lesson that human beings and nature are in the same boat permanently as well as now and here teaches us a lot. The consciousness and perspectives on nature connected closely to reality make the reflective introspection when we reflect our city civilization captured by speed.
    We seem to have no discussion on Mongolian films in the aspect of folklore so far. This situation shows that the advantages of films are not well-recognized and our interest on foreign films is still narrow. From now on, we hope the discourses on unfamiliar folk culture would be more vigoro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