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천 민중예술과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시론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the Minjung Arts and the Minju Labor Unions in Incheon)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0.08
45P 미리보기
인천 민중예술과 민주노조운동에 대한 시론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천학연구 / 1권 / 13호 / 183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재성

    초록

    인천은 전통적으로 민주노조 운동이 발전했던 도시이고 특히 1980년대에는 급진적 노동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지금까지 1980년대 민주노조운동은 주로 급진적 정치조직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학생운동 출신의 진보적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보는 시각은 다수의 일반적인 민주노조 운동을 설명하는 데에 분명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당시 노동운동의 또 다른 축을 이루고 있었던 민중문화 운동에 대한 역사적 복원과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문화는 노동자 대중과 활동가 그룹을 하나의 사회운동으로 통합시키는 중요한 매개가 되었다. 비단 노동운동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을 포함한 여러 사회운동 연구에서 ‘상징과 문화’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
    인천은 주요 공업단지 주변 공간마다 활발한 민중문화 운동의 거점이 존재했으며, 그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민중예술이 급격히 발전하였다. 동인천, 제물포, 주안, 부평 등이 주요한 활동 공간이 되었다. 문화운동가들은 직접 노동 현장으로 들어가 노동자들을 가르치고, 문화패를 조직하였으며, 민주노조의 건설과 그 운영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인천지역 민중문화 운동은 비록 서울 지역의 문화운동의 큰 영향력 아래 있었지만, 노동 현장에 보다 밀착된 활동을 전개하면서 서울과 다른 독자적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그들은 공장 밖에서 노동자들을 문화적으로 교육시켰고, 노동자들이 현장 내부에서 민주노조 활동가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들 스스로가 현장에 들어가 문화패를 지도하고, 스스로 노조 활동을 전개했다.
    인천의 문화운동가들은 지식인과 노동자를 연결하는 결정적인 ‘매개자’였으며, 다양한 이념적 신념들을 한국 자본주의 사회의 변혁에 대한 하나의 문화적 전망, ‘주의미틀’로 주조해 낸 주인공들이었다. 그들의 노력으로 인해 변혁적 민중운동은 전통적인 민주노조 운동과 만나서 ‘노동해방’이라는 상징으로 소통하는 급진적 민주노조 운동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인천의 민중문화 운동은 민주화의 진전과 현실 사회주의권의 몰락 등의 외부 요인과, 정치적 성격을 강조했던 민중문화 운동의 내적 고민들속에서 많은 활동가들인 지역을 떠나는 등 급속히 쇠퇴하였다. 하지만여전히 지역에 남은 문화운동가들은 1990년대에 새로운 지역예술운동을 개척해 나갔다.

    영어초록

    The movements of Minju Labor Unions have been developed in Incheon area since early times. Some explanations and hypothesis about the reason why Minju trade union activism success during the 1980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groups and unions. The alliance between them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but couldn't establish its micro dynamics.
    To overstep the limit, Minjung Arts being made-up of the considerable portion of Minju Unionism should be investigated by the researchers. The symbolic and cultural factors is gradually on the increase in the social movement studies. They were major mediating actors and media themselves in the worker's movement which was composed with mixtures of so different elements.
    In Incheon there were several space for Minjung Art activities especially near the industrial complex, many disguised workers(hakchul) learned and taught Minjung Arts to each other and with laborers. Though the arts movements started in Seoul area especially by hakchul (university student activists) and intellectuals who moved to Incheon and hoped to be the oppressed working people(minjung) or the working class by themselves.
    They organized many 'cell' for cultual movement to protest against the dictatorship and exploitation in the factory despotism. The cell(small group) in a factory regime started to built Minju labor union in 1987 rapidly. The Minjung Art activists became one of the main groups of union leadership and major educators for the rank and files through the various cultural apparatuses.
    They were an critical mediating group for the alliance of intellectuals with workers, and for making the new Minju unionism identity in the 1980s, by molding extremely diverse ideological creeds into one symbolic interpretative structure - 'main frame' - for transformation of Korean capitalistic society. They called it nodong haebang, it meaned 'liberation of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