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殖民協會의 식민 활동과 해외이주론 (The colonial activity and emigration theory of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6
41P 미리보기
일본 殖民協會의 식민 활동과 해외이주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역사문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30호 / 173 ~ 213페이지
    · 저자명 : 최혜주

    초록

    식민협회는 외무대신을 지낸 에노모토 다케아키(榎本武揚)가 이주 식민을 일본의 國是로 내걸고 식민사업의 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1893년에 설립한 아시아주의 단체이다. 협회의 운영은 代議士, 외무성 관료, 실업가, 학자, 언론인 등 평의원 28명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식민협회에서 한 활동은 이민회사 설립과 항로확장 추진, 탐험대 파견과 강연회 개최, 일간지에 이민론 소개, 제국의회에 건의안 제출, 식민사상과 식민교육 보급, 식민 상담회 개최, 잡지 출판 등을 통해 해외이주의 중요성을 계몽하는 일이었다.
    식민협회의 잡지인『殖民協會報告』와『殖民時報』에 나타난 일본인의 해외이주 문제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급무론. 식민협회가 식민이 시급하다고 본 이유는 급격히 증가하는 일본인의 인구배출과 식량문제를 해결하고, 청일전쟁 후 전후경영을 위한 팽창주의를 추진하며, 열강과의 각축 속에서 생존경쟁을 위한 국가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라고 보았다.
    둘째, 식민정략론. 식민협회는 일본인은 애국심이 강하지만 대외사업에는 냉담하다고 인식하였다. 식민정략으로 중요한 것은 이주의 순서와 방침, 이주지의 선정문제다. 그리고 이민을 영구목적으로 하고 일본이 열강과 경쟁하려면 海上權과 商權을 가져야 하며, 일본의 식민정책은 “영국의 식민지를 빼앗아 五大洲를 마음대로 할 수 있을 정도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셋째, 조선이주론. 쓰네야 세이후쿠(恒屋盛服)는 일본이 조선으로 이주 식민이 필요한 이유는 역사상 “두 나라가 인종이 동일하고 언어풍속과 생활상태가 비슷한 식민의 관계를 갖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또한 일본상인이 조선에서 힘써야 하는 것은 항해무역이 아닌 내지행상이라고 보았다. 그는 조선에 이주 식민을 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이민을 지도할 ‘토지주선회사’를 만드는 일이고, 이주안내서를 간행하여 토지를 대량으로 구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식민협회는 물론 당시 일본 언론들의 조선이주에 대한 관심은 열강이나 러시아의 움직임을 경계하는 데서 나왔다. 이를 위해 다수의 일본인을 조선에 이주시켜 식산공업에 종사하게 하고 부원을 개척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The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the extend of the Continent of Asia, was established in 1893 by Enomoto Takeaki who was foreign minister in oder to secure foothold for colonial enterprise putting up state policy of colonial emigration. The operation of association was conducted by 28 councils involving deputies, bureaucrat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businessmen, scholars, journalists. Its activities was to establish a emigration company and extend the sea routs, to dispatch an expedition and hold lecture and skull session, to introduce immigration theory in daily newspaper and submit a proposition, to propagate colonial thought and education and enlighten the public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ving overseas through publishing a magazine.
    In the Report on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and Colonial Time Signal published by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there were several issues of Japanese immigration. The first was ‘the theory of colonial matter requiring immediate attention’. The reason for that they regarded the immigration as burning problem was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growth and a food shortage and carry forward a plan of expansionism for the post-war management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of state enterprise of struggle for existence in the situation of competing powers.
    Secondly, it was ‘the theory of colonial political strategy’. The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recognized that Japanese has strong patriotism but apathy towards businesses abroad. Most importantly, as a colonial political strategy, it was the order and direction of emigration and the problem of selection of settlement. To aim at emigration as an eternal objective and compete against powers, Japan had to rule the sea and gain commercial supremacy, and claimed that the colonial strategy of Japan was to seize colonise from English and controled the Five Continents under the Japanese will.
    Thirdly, it was ‘the theory of emigration to Korea’. Tsuneya Seihuku claimed that “the race of two nations is not only historically same but the life-style such as language and custom is similar” is the reason for the need for Japanese emigration into Korea. Moreover, Japanese merchants strove for internal peddling in Korea not sailing trade. What it need most for colonial emigration, he argued, is to establish ‘Land Arranging Company’ to guide emigration, and to make quantity of land purchases through publishing a guidebook.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concern of Japanese press, as well as Japanese Colonial Association, with emigration to Korean arose from keeping their eye on the movement of powers or Russia. To achieve this, it became important to transplant a great number of Japanese to Korea and to engage in the productive industry to develop a source of w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