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맹자의 성(性)으로 본 민살풀이춤 (Minsalpuri Dance 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True Self Mencius Philosoph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12
27P 미리보기
맹자의 성(性)으로 본 민살풀이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31권 / 3호 / 271 ~ 297페이지
    · 저자명 : 이미영

    초록

    진정한 춤 명인들의 공연에서 화려한 기술이 아니고 그냥 서있기만 하는듯한 담백한 춤을 보고 있을 때 오히려 심금을 울리는 감동을 받는 경우가 많다. 가령, 전통춤을 추는 조갑녀와 장금도의 춤을 보고 있으면 시·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이 확연하게 다른 질감이 다른 춤이라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즉 기교보다는 마음이 돋보이는 춤, 그것이 무엇일까? 무심코 추는 춤, 몸을 통해 춤을 추고 있지만 몸에 얽매이지 않고 추는 춤, 진정한 춤 공부는 그것에서 시작과 끝이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본질적이고도 근원적 물음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맹자는 성(性), 정(情) 및 사려분별지각운동(思廬分別知覺運動)을 통틀어서 마음이라고 한다. 성(性)의 작용이 구체화된 것이 정(情)이다. 성(性)이 정(情)으로 구체화되는 과정에서 사려분별지각운동(思廬分別知覺運動), 즉 생각하고 헤아리고 분별하고 지각하는 마음의 기능이 작용한다(이기동, 2009, p. 579). 맹자의 성(性)의 본질과 전통춤에서 터득해야할 마음공부는 일맥상통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춤의 본질적 특성을 살리고자함과, 온 세상이 물질주의에 몸살을 겪고 있는 지금 몸과 마음을 하나로 보는 전통사상에 근거하여 춤의 본질을 외형의 동작미보다는 내면의 마음에 초점을 두고 마음챙기는 진보적 회복이 필요함에 그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하겠다. 본 연구는 맹자의 성을 통해서 조갑녀의 민살풀이춤을 철학적으로 대비시켜 동작분석을 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시도는 다른 선행연구들에서 찾아 볼 수 없는 전무한 연구이며, 향후 고전사상에 깃든 마음공부와 전통춤이 지니고 있는 몸사상을 연계시켜 학문화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Sometimes it is more deeply touching to see a plain dance just like standing rather than colorful technologies in dance performance by a true master. For example, looking at Jo, Gapnyeo and Jang, Geumdo dancing traditional dance, the texture of dance is obviously different in obtaining time and space. An impressive dance showing all the more remarkable mind than any virtuosity, what would be that? Casual and physical dance without being tied to body though,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question where might lie the beginning and end of true dancing study from which the research has been started. Mencius called mind a collectively associated movement of true self, attachment and understanding. Attachment is materialized true self. Understanding, in other words, function of mind such as thought, comprehension, assessment and perception, interacts in the materialization process of True self into attachment. The true self by Mencius and study of mind to learn from traditional dance have something in common. The purpose and requirement of this research lie in revival of the property of traditional dance and progressive recovery taking care of mind focusing on inside the heart rather than external beauty of movement based upon traditional ideas of considering body and mind as one unit whilst the whole world is experiencing intense materialism as of now. The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motion of Minsalpuri dance by Jo, Gapnyeo philosophically compared to true self idea of Mencius. These attempts have never been found in earlier researches and we hope it would be the cornerstone for conducting academic works in the future to connect study of mind in classic philosophy and thoughts on body in traditional d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