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홍수 이재민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A Study on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Flood Victim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09
12P 미리보기
홍수 이재민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1권 / 3호 / 139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박현우, 정다운

    초록

    매년 우리는 예측하기 힘든 복합적 형태의 재해로경제적 정신적 피해를 입고 있다. 또한 재해 발생 이후 주거공간의 상실, 구호 물품 배급, 정보 공유 및치료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피해자들은 임시 수용소에서 머무는데, 이곳에서 2차, 3차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더 큰 문제는 자연재해의 경우 취약한 지역에 사는 재해 약자일수록 이런 피해를 매번 감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인간의 부주의로 발생한 인재의 경우 경제적 손실 이외에 인도적인 측면에서 그상실감이 더욱 크기 때문에 임시 수용소에서의 추가피해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합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재해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분석을 통해 인간이 받게 되는 신체적, 심리적 피해를 최소할 할 수 있는 임시 수용소의 가이드 안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방법은 재난 관리 및 임시 수용소에 관한 문헌정보와 미디어 매체 등에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였다. 또한 2010년부터 2014년 사이에 전 세계에서 발생한 재난의 피해 규모 및 정보 데이터를 수집하여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재해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정의와 분류 기준을 재정립하고 도식화 하였다. 둘째, 이를 기초로 하여 국내에서 피해가 가장 큰 주요 재난으로 ‘호우’를 선정하였고, 이를 위한 수용소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이재민을 위한 임시 수용시설은 신체적, 심리/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고려되어야 한다.
    첫째, 신체적 측면으로 미끄럼방지와 치안 등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침실과 부엌, 화장실 등의 위생 공간은 분리되어야 하며, 채광과 조명, 환기등으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해야한다.
    둘째, 심리/사회적면으로 피해자의 사생활을 보장할수 있는 개인공간과 가족, 친구, 구호단체와의 원만한소통을 위한 공용공간을 따로 분리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 경제적 측면으로는 적재적소에 물자, 물품을제공하고, 원할한 의사소통에 도움을 주고자 몇가지그래픽 디자인의 가이드를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재난 관리 체계의 발전에 기여하고, 이재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임시 수용소의 필요 요소를 고찰하는 연구로서, 재난 발생 후재난 피해자들이 약 한달 정도의 기간 동안 거주할임시 이재민 수용시설을 제작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해 재난 발생 시 피해자들의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이재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Every year, we are suffering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damage from a combined disaster which is hard to predicted. After the disaster, people are concerned about additional damage who are staying in ‘refugee shelter’ for living space, relief goods, sharing information and treatment and so on. The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weak people who live in the vulnerable areas have to undergo these damages every years. Especially when the man made disaster’s happened, the refugee shelter has to prevent to additional damage obviously because it is deeper loss from a humanitarian point of vie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refugee shelter’ design guide to reduce psychological and physical damage based on new definition and analysis of the disaster evolving into more complex for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various cases were collected from literature and media related on the damage management and the refugee shelter. And we collected the disaster damage level from 2010 to 2014 around the world and materials, a qualitative analysis.
    First we analyzed the factors of disaster and defined and visualized its classification. Second, we selected the ‘flood’ as a biggest disaster in korea and looked for the better design of refugee shlter for flood. The study results suggest as follows i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aspects. At first, the refugee shelter ensure the safety such as prevention of slipperiness or security and the hygienic space should be separated from toilet to maintain healthy environment. Second, the refugee shelter needs both private space for prevent privacy and public space where victims can communicate with their friends, family and relief organization. Lastly, It should provied the simple, direct and uncomplicated design written in korean to put the right man or product in the right place.
    As a result, this thesis try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and consider the factors of the refugee shelter to minimize the damage.
    And also suggest the base study for establishing a refugee shel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