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民)을 찾아서 — 메이로쿠샤 학자직분론 논쟁을 중심으로 — (Searching for the ‘People’ ―The Meirokusha Controversy on the Role of Scholars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8.06
43P 미리보기
‘민’(民)을 찾아서 — 메이로쿠샤 학자직분론 논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수록지 정보 : 개념과 소통 / 21호 / 39 ~ 81페이지
    · 저자명 : 김태진

    초록

    이른바 백성의 주인으로서의 ‘민주’의 시대에서 백성이 주인이 되는 ‘민주’의 시기로 이행하는 시기에 정치적 주체로서 ‘민’은 어떻게 등장했는가? 본 논문은이 과정에서 민이란 어떤 존재로 그려지는가, 그 출발점으로서 메이로쿠샤 지식인 사이의 민에 대한 생각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 이른바 ‘학자직분론 논쟁’이라불리는 논쟁에서 메이로쿠샤 동인이었던 후쿠자와 유키치와 가토 히로유키, 모리 아리노리, 니시 아마네, 쓰다 마미치는 민에 대해 각각 다른 신체은유를 통해 다른 생각을 보여 준다. 지금까지 이 논쟁구도는 ‘관(官) 대 민(民)’=‘관료학자 대 사립학자’=‘권력 대 시민’=‘복종 대 독립’=‘메이로쿠샤 동인 대 후쿠자와 유키치’라는 구도로 설명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이분법적 도식을 넘어 논쟁구도 안에 숨어 있는 담론 분석이 필요하다. 후쿠자와가 보여 주는 균형으로서의 정부와 인민이라는 이념적 관계, 정부를 비판하는 외부의 자극으로서의 인민이라는 상에 대한 메이로쿠샤 동인이 보여 주는 미묘한 거리감은 그들이 신체은유로서 민을 어떻게 사유하는가의 문제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영어초록

    How were ‘people (min)’ imagined or assumed to be in the early Meijiperiod when the concept of people was undergoing change? This paperpresents a variety of views held by Meirokusha intellectuals. In whatMeiroku Zasshi has described as the ‘controversy on the role of scholars,’Fukuzawa Yukichi, Katō Hiroyuki, Mori Arinori, Nishi Amane and TsudaMamichi deb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people.
    Previous studies have characterized this controversy as a confrontationbetween private scholars and public officials, emphasizing the people’srights versus the state’s rights or Fukuzawa Yukichi versus other Meirokushaintellectuals. Beyond this dichotomy, however, there is a discourse hiddenwithin this dispute which needs to be analyzed. Thus:why did they argue amongst themselves despite sharing similar views? The core issueunderlying their contention was Fukuzawa’s idealized conception of the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his opponentscould not agree with Fukuzawa’s metaphor of the body, which representedthe people as analogous to an external stimulus, in order to criticize thegovernment. Other Meirokusha intellectuals also had subtle disagreementswith Fukuzawa, and these seem to have been caused by epistemologicaldifferences about the bo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