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집합기억과 시민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A Social Psychological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Culture in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The Concepts of Collective Memory and Civic Competen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코로나19 팬데믹 시대의 안전문화 정착을 위한 사회심리학적 고찰: 집합기억과 시민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0권 / 2호 / 57 ~ 84페이지
    · 저자명 : 민웅기, 김상학

    초록

    사람들은 한 사회에서 생활하면서 위험 상황에 직면했을 때 누구나 불안한 심리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위험을 통해 나타나는 인간의 반복적인 심리상태는 그들 자아와 정체성을 스스로 기획하게 유도한다. 위험에 대한 불안은 신체적, 정신적 상태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 속에서 시작되며, 그 구체적 위험 상황에 대한 인지는 현재 상태에 대한 경험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과거 집합기억을 통해 공동체 내 타인과의 관계에서 함께 나타나는 습관적 인식 속에서 위험의 감정적 수용 과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회구성원들은 과거 전쟁, 산업화, 민주화 과정에 대한 집합기억의 세대 간 분절화 현상이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여 위험에 대한 집합기억의 탈분절화 현상으로 전이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 다양한 바이러스의 확대, 경제 위기 등의 위험에 대한 동시대적 집합기억에 기반을 둔 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인간 감정을 연구하는 것은 위험과 안전에 대한 연구의 근본적인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제 안전에 대한 인간의 감정적 수용 과정은 안전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안전문화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과학기술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과학기술의 건전한 활용을 위한 인간 사이의 신뢰 관계는 곧 한 사회의 시민역량에 의해 그 수준이 결정된다. 이처럼 인간의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연구는 인간의 감정, 불안, 기억, 위험, 안전, 건강 등 인간의 실존적 문제와 함께 복합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People who live in a society experience an unstable psychological state when facing a dangerous situation. The repetitive psychological state of humans by risk induces them to form the self and identity. People's anxiety about danger comes from their awareness of physical and mental state, and the specific dangerous situation is not always recogniz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present state. The emotional acceptance of risk is more often made in the habitual recognition appearing in th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community through collective memory in the past. The members of Korean society are currently facing that the generational fragmentation of collective memories of war,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es is changed to the de-segmentation of collective memories of risk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s people are experiencing anxiety from the contemporary collective memory of risks such as the spread of various viruses and economic crises, studies on safety can begin with human emotions. Now, the emotional acceptance of safety should be studied with trust in safet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afety culture. The level of trust between humans to foster the sound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ends on the competence of a societ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 safety culture needs to be combined with human existential issues such as human emotions, anxiety, memory, danger, safety, and heal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순천향 인문과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