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시대의 환경연극 창작사례 연구: 연극<길가메시-죽음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reative Case of Environmental Theatre in the Pandemic Era: Focusing on the Pla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12
19P 미리보기
팬데믹 시대의 환경연극 창작사례 연구: 연극&lt;길가메시-죽음편&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9권 / 4호 / 227 ~ 245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의 공연예술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몇 가지 질문으로 출발한다. 비대면 상황 속 뉴노 멀 공연에 대한 필요성 제안과 사회적 기능과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한 역할로서 극장이라는 실내공간의 제한에 서 벗어나거나 지정된 소수의 관객과 정서적으로 더 밀접한 관계를 시도한 환경연극 공연은 시대를 반영한 예 술적 변화이며 공연예술의 본질을 잃지 않으려는 필사적인 노력이다. 팬데믹 이후 환경연극 성향을 띄고 있는 작품이 다수 공연되는 것은 이와 같은 공연예술의 본질적 의미와 동시대 연극의 방향성 모색의 방안 중 하나 일 것이다. 팬데믹 비대면 시대의 불완전한 연극은 현재의 불안과 공포의 상황에 과거의 미학적 실험을 흡수하 며 공간의 변화, 관객의 변화, 표현의 변화를 통해 미학적 다양성과 상처의 연대를 내포하며 존재의 의미와 가 치에 대해 사유한다. 본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환경연극의 창작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1960년대 리차드 셰크너에 의해 고안된 ‘환경연극(environmental theatre)’의 이론적 배경과 동시대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 고, 필자가 창작한 연극<길가메시-죽음편>의 창작과정 연구를 통해 팬데믹 시대 환경연극의 의미와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제안해보고자 한다. 연극<길가메시-죽음편>의 창작과정은 1.자기현존을 위한 수행적 신체의 발 견 2.넘나드는 실험성과 놀이성 3.포스트드라마 스토리텔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 연극<길가메시-죽음 편>에 드러난 환경연극적 특징은 1.발견된 환경, 수행적 공간 2.거리두기형 선택적 관객참여 3.비가시적 소리 의 잠재성 4.버바텀 텍스트와 테라피 연극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필자가 창작한 환경연극 창작사례 연구 를 통해 팬데믹 시대 연극작업의 다양한 방향성을 모색하고 동시대 연극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theatre changes as a role to suggest the need for new normal performanc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nd to help restore social functions and daily life after pandemic. Environmental theatre that deviate from the limitations of indoor space or attempt to have an emo- tional and closer relationship with a small number of designated audiences can artistic changes re- flecting the times and desperate efforts not to lose the essence of performing arts. Through changes in space, changes in the audience, and changes in expression, it implies aesthetic diversity and solid- arity of wounds, and thinks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existenc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creative case of environmental theater after the pandemic. It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temporary meaning of 'environmental theatre' designed by Richard Schechner in the 1960s. Through the research on the creative process of the play <Gilgamesh-Death>, this paper would like to propose the meaning and future direction of environmental theatre in the pandemic era. The play <Gilgamesh-Death> is about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s faced with death in the COVID-19 sit- uation, and show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s a process-oriented play and post-drama story- telling, selective audience participation, the use of verbatim texts, and the pursuit of therapy-type plays promoted emotional encounters through performativit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explore various directions for theatre work in the pandemic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