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팬데믹 이후 대학 문학교육의 전환 (Transformation of University Literature Education after the Pandemic)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6
36P 미리보기
팬데믹 이후 대학 문학교육의 전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교육학 / 83호 / 183 ~ 218페이지
    · 저자명 : 황혜진

    초록

    이 연구는 팬데믹 이후 대학에서 진행되는 문학교육 현상을 기술하고, 디지털 전환에 따른 문학교육의 변화를 성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팬데믹을 거치며 가장 큰 변화는 ‘디지털 전환’이다. ‘디지털 전환’은 기존 지식을 전수 받던 학습자를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행위자로, 지식을 보유하고 전달하던 교수자를 지식의 플랫폼이자 학생들의 조력자로 그 위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부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범지구적 차원에서 미래 교육의 비전과 방향을 꾸준히 탐구하고 제안해 온 OECD가 제시한 ‘2030 학습 나침반’을 교육자에게 필요한 ‘교육 나침반’으로 삼아보려 하였다. 변혁적 역량에 속한 ‘새로운 가치 창출’, ‘긴장과 딜레마의 조정’, ‘책임감 가지기’ 등은 대학의 학습자들에게도 필요한 것들이기에 교육적 지침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자는 2023년도 2학기에 문학을 교육하는 두 수업을 담당하였다. 하나는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고전문학과 콘텐츠’이며, 다른 하나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고전서사와 콘텐츠’이다. 두 수업의 강좌명은 대동소이하지만 내용은 크게 다르다. 전자는 고전문학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콘텐츠에 대한 이론과 디지털 콘텐츠 생산에 관한 것이요, 후자는 디지털 인문학의 전공 지식에 따라 고전문학을 디지털화하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는 것이다.
    수업 실행의 결과,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행위주체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이와 정비례하여 교육자의 노고로움은 증대하였다. 그렇지만 이 현상을 학생들의 행위주체성뿐 아니라 교육자의 행위주체성이 높아진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교수자나 학생이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는 초심자이다. 전공 지식을 디지털 인문학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 역시 새로 배워야 한다. 이 수업 경험을 통해 연구자는 학생들과 함께 수평적 관계에서 서로 배움을 나누며 함께 길을 찾아 가는 새로운 교수-학습자상을 갖게 되었다.

    영어초록

    The most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pandemic is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is goes beyond the establishment of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he use of digital media, transforming the status of students and educators. The education sector inevitably requires a more fundamental revolution because it needs to anticipate the experiences future generations will face, identify the necessary capabilities, and be responsible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the '2030 Learning Compass' presented by the OECD as a 'Education Compass' for educators. It was judged that the guidelines for education, including 'Creating New Values,' 'Balancing Between Growth and Dilemmas,' and 'Taking Responsibility,' which are transformative competencies, could be beneficial for university students.
    I was in charge of two literature education clas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3. One was 'Classical Literature and Content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other was 'Classical Narratives and Contents' for graduate students. Although the course titles of the two classes were similar, their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former focused on theories related to transforming classical literature into contemporary contents and contents production, while the latter involved directly digitalizing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expertise in digital humanitie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courses, it can be evaluated that overall, students' agency has increased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along with a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efforts of educators. However,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not only as an increase in students' agency but also as an increase in educators' agency. In other words, educators also enhanced their agency by actively learning and mastering media and digital technologies while conducting these courses, finding their way through new learning experiences. Whether educators or students, both are beginner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To combine disciplinary knowledge with digital humanities, educators also need to learn anew. Through this course experience, the researcher developed a new teacher-learner relationship, sharing learning with students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finding a new teacher-learner model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교육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