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곱 박공의 집』: 헵지바를 통해 본 미국사의 근원과 공적 담론에 대한 비판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Assessing the Origin of American History and Public Discourse through Hepzibah Pyncheon)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4.02
23P 미리보기
『일곱 박공의 집』: 헵지바를 통해 본 미국사의 근원과 공적 담론에 대한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19세기영어권문학회
    · 수록지 정보 : 19세기 영어권 문학 / 18권 / 1호 / 7 ~ 29페이지
    · 저자명 : 김이은

    초록

    『일곱 박공의 집』(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1851)은 과거의 역사에 천착했던 호손(Nathaniel Hawthorne)이 현실의 문제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일 것을 표방한 이후에 발간한 첫 작품으로 19세기의 세일럼 사회를 중심에 두면서도 청교도주의, 마녀재판 등 초기 미국사에 대한 반향을 불러일으킨다. 서문에서 “한 세대의 잘못이 다음 세대에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밝히겠다는 의도대로 호손은 조상의 죄과가 현재에 어떤 식으로 후손들을 옭아매고 있는지를 보여준다(2:2). 호손은 과거를 상기시키는 핀천(Pycheon) 가의 이야기로 『일곱 박공의 집』을 시작하는데 이러한 가족사를 통해 독자는 핀천 대령과 몰(Maul) 가문, 그리고 이들에게 얽힌 탐욕과 복수, 저주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콜(A. N. Kaul)에 따르면『일곱 박공의 집』은 가족과 공동체의 붕괴가 거창한 대의명분의 상실이나 종교적인 신념의 변질 때문이 아니라 경제적인 갈등 때문이라는 호손의 진단이 암시된 작품이다.『일곱 박공의 집』에서 호손은 소설의 가장 중심에 종교적인 박해와 물질에 대한 탐욕 간의 묘한 결합을 두고 있다. 즉, 마녀 사냥은 신세계에서 사탄에 대적하면서 선민들을 공고히 하기 위한 필요악이기 보다는 탐욕으로 가득한 지배층의 편리한 방편이자 매슈 몰(Matthew Maul)과 같은 사람을 억압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따라서 17세기의 청교도주의에서 19세기의 민주주의에 이르는 문명화의 과정을 호손은 거창한 진보나 발전이 아닌 복수의 과정으로 보고 있으며 미국의 태동과 함께 존재했던 악의에 가득 찬 탐욕은 종교적인 명분아래, 그리고 19세기 현재에는 경제적인 번영 때문에 간과되고 있음을 지적한다(190-91).
    콜의 지적대로 호손은 동시대가 누리고 있는 경제적인 진보에 대한 점검을 요구하고 있는데, 경제적인 번영에 대한 추구는 청교도 초기 이주 때부터 종교적인 열정과 결부되어 청교도들의 위선을 비판하는 잣대가 되면서 동시에 미국을 형성하는 중요한 특징이 된다. 콘포티(Joseph Conforti)에 따르면 매사추세츠(Massachusetts)로 온 청교도들이 추구한 종교적 이상인 경건함은 정착한 지역의 발전과 개선을 도모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부르짖는 종교적인 이상은 세속적인 성공의 기초가 되는 근면 성실함과 진취적인 정신으로 구체화되기 때문이다. 청교도들의 소명의식은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해 일을 하는 것과 동일시되고 이와 관련해 자기 통제, 부에 대한 청지기적 정신, 유능함이 고양된다(33). 즉, 청교도들이 이상으로 꼽는 종교적인 경건함은 단순히 종교적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세속적인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자질들로 연결되고, 이는 최종적으로 신이 주신 은혜의 표징인 경제적인 번영을 가져오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들은 애당초 종교적 열정과 세속적인 성공 사이의 경계를 애매하게 만들면서 결국 전자가 후자를 위해 오용될 수 있는 여지를 내포한다. 이웃사랑을 실천하기 위해 재화의 수단이 되어야 할 경제적인 풍요가 그 자체로 목적이 되면서, 축적 방식에는 상관없이 얼마만큼의 부를 달성하느냐가 세속적인 성공, 더 나아가 신의 은총을 판가름하는 잣대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작품에서 남을 짓밟고서라도 재산을 증식하려는 잘못된 욕망에 대해 종교를 내세워 정당화 하는 것은 ‘청교도’ 라고 지칭된 17세기의 핀천 대령과 19세기의 핀천 판사에게 두드러진다. 17세기의 핀천 대령은 종교적인 신앙심으로 형제애를 실천하는 진정한 기독교인이기보다는 “무자비한 박해자였던 냉혹한 청교도인, 불굴의 의지를 가진 그악스러운 대령”이고 그의 후손인 핀천 판사 역시 대령의 탐욕을 그대로 물려받은 인물이다(2:15).
    그러나 호손의 초점은 탐욕의 화신인 핀천 가 사람들을 비판하는 데 있지 않다. 몰 가문과의 악연을 주도한 핀천 판사는 많은 이들에 의해 회자될 뿐 작품에서 실질적으로는 거의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핀천 판사의 행동과 목소리를 직접적으로 만나게 되는 것은 그와 헵지바(Hepzibah), 피비(Pheobe)와의 대화를 통한 잠깐일 뿐이고 대부분 그는 사람들에 의해 회자된다. 핀천 판사는 전형적인 악한이라기보다는 해리스(Kenneth Harris)에 따르면 스스로가 악한인지를 모르기 때문에 더욱 우스꽝스럽게 보이는 “우스운 자기 기만자”에 더 가깝다(89). 오히려 『일곱 박공의 집』에서 호손은 사회의 잉여인간처럼 살아온 채 아무런 힘도 젊음도 능력도 없는 여인을 정면에 내세운다. 그렇다면 호손이 청교도의 ‘적자’인 핀천 판사보다는 오히려 헵지바에게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함으로써 의도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논문에서는 19세기 자본주의와 시장경제의 발달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세일럼에 드리운 초기 청교도들의 유산을 점검하고, 헵지바로 대변되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그들이 속한 공동체를 고찰하고, 행복한 결말임에도 여전히 미심쩍은 공동체를 그려낸 호손의 의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호손은 현실에서는 미미하게 간주되거나 기록할 가치가 없는 것으로 사장되고 마는 다양한 담화들에 주목하게 만든다. 따라서 당대에 선전되는 진보적인 역사관, 그러나 그와는 전혀 다른 대중의 삶을 포착하고 있는 호손이 전승과 공식서사라는 두 가지 서술방식의 틈새를 통해 이루어낸 작가적 성취를 논문의 결론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at tracing the inherited Puritan past casting a deep gloom over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and its residents and examining Hawthorne's intention to demonstrate the community as what really is. In Puritan rhetoric, religious zeal and secular prosperity are closely interrelated because God's blessing is embodied in earthly wealth. This unique rhetoric highlights Puritan hypocrisy when Puritans exclude, oppress and take advantage of the marginalized in the name of religion or God's providence. In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 Hawthorne deals with a 150-year-long American history through the family feud of the Pyncheons and the Maules. Interestingly, Hawthorne puts an impoverished and isolated old spinster, Hepzibah Pyncheon in the center instead of Jaffrey Pyncheon, the legitimate Puritan descendant. As a protagonist, Hepzibah also stands for the majority struggling to live in this capitalistic society. Hawthorne portrays the pivotal values in this community through the malicious assumptions and intruding gossips about Hepzibah and Clifford. What is more, in exploring the history, the narrator depends on the gossips, legends, rumors and traditions as ‘contrary averments’ to the recorded documents. Through this process, Hawthorne reveals the multi-layered truth of the person or the events by criss-crossing both ways of transmitting the past. In spite of a happy ending, there still remains disharmony, indifference and diversity in Salem community with more meanings and significance in contrast to the so-called or assumed homogeneous Amer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