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캐니 개념으로 바라 본 현대건축의 미적사유와 표현경향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Thought and Expression Tendency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from the Concept of the Uncanny)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02
10P 미리보기
언캐니 개념으로 바라 본 현대건축의 미적사유와 표현경향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2권 / 1호 / 164 ~ 173페이지
    · 저자명 : 박경아

    초록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미학 분야에서 현대를 규정하기 위해 거론되는 미적 개념들 중 프로이트가 미학원리로 주장한 ‘언캐니(uncanny)’ 개념을 중심으로 오늘날의 건축예술을 조망함으로써 현대건축에 나타난 미적 사유와 표현을 분석하고 언캐니 개념의 건축적 해석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두려움, 놀라움에 대한 경험을 만들어 내는 언캐니의 생성구조는 ‘이중구조’, ‘트라우마’, ‘위협구조’, ‘반복강박’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체험 주체의 감각을 환기시키고 감성을 편입시키며 내적과정을 활성화하는 원리로써 언캐니를 조직하고 구성하는 방법론이 된다. 언캐니의 개념과 미학적 표현들에서 도출한 네 가지 요소를 통해 바라 본 현대건축의 언캐니적 표현특성은 ‘고립’, ‘전복’, ‘흔적’, ‘부재’, ‘사선’, ‘부유’, ‘은폐’, ‘교란’으로 산출되는데, '고립'과 '전복'은 억압과 억압해소에 의한 긴장의 압박과 이완의 공간을 생산하는 것으로 공간적 이접을 통해 공간감의 최대 확장을 이끌어내는 것이며, '흔적'과 '부재'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소외와 부재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체험주체에게 더욱 강렬한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식으로 신체활동의 잠재적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사선'과 '부유'는 시각적 충동으로 ‘불안한 지점’을 가시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생존에 대한 위협을 연출하여 언캐니를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은폐'와 '교란'은 예측 불가능한 공간을 창출하는 것으로 공간을 탐색하게 하고 의도하지 않은 주체자의 선택을 강요함으로써 공간 지각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방식으로 마스커레이드 개념과 미로적 공간구성이 적용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현대건축에 나타난 언캐니적 표현특성들은 불확정적이며 다원화된 현대 건축을 미학적으로 해석하는 지표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thought and expression tendency appeared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by looking at today’s architectural art based on the concept of the uncanny that Sigmund Freud contended as an aesthetic principle, of the aesthetic concepts tossed around to define the contemporary times in the aesthetics field and discuss the architectural analysis possibility of the concept of the uncanny. The generation structure of the uncanny that generates experiences of fear and surprise is classified into dual structure, trauma, threatening structure, and repetition compulsion. This is the principle that evokes a sense of experiencing subject, incorporates sensibility, and vitalizes internal process. This is also the methodology to organize and structure the concept of the uncanny. When seen from the four factors drawn from the concept of the uncanny and aesthetic expressions, the uncanny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cludes isolation, subversion, trace, absence, oblique line, flotation, concealment, and disturbance. Isolation and subversion refers to producing the space of the pressure of tension and relaxation caused by repression and relief from repression and eliciting the maximum expansion of the sense of space through spatial change. Trace and absence indicates being able to elicit more intense emotions from the experiencing subject by applying the images of alienation and absence in the way to reproduce historical trauma. This happens by implementing the potential value of physical activity. Oblique line and flotation means visual impulse. This happens in the way to visualize uneasy points. This causes uncanny by threatening the survival. Finally, concealment and disturbance refers to creating unpredictable space. The concept of masquerade and maze space composition are applied in the way to activate spatial perception, including space exploration and unintended subject’s forced selection. As stated above, the uncanny expression characteristics show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presented as indicators that are available to analyze the undecided and diversified contemporary architecture aesthetical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