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촌 심언광의 「차이소경(次離騷經)」에 나타난 ‘초사(楚辭)’의 미의식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 Mentioned in the Eochon Sim Eon-gwang’s “Cha-IsoKyung(次離騷經)”)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02
45P 미리보기
어촌 심언광의 「차이소경(次離騷經)」에 나타난 ‘초사(楚辭)’의 미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민학회
    · 수록지 정보 : 연민학지 / 41권 / 303 ~ 347페이지
    · 저자명 : 신두환

    초록

    이 논문은 조선의 관료이자 문인이었던 어촌(漁村) 심언광(沈彦光, 1487~ 1540)이 창작한 장편 서정시 「차이소경(次離騷經)」에 나타난 초사(楚辭)의 미의식을 연구한 논문이다. 「차이소경」은 굴원의 「이소(離騷)」를 차운하여 지은 것으로 때를 잘못 만난 시대의 한탄과 조정에서의 잘못을 진심으로 뉘우치는 참회의 글이다.
    심언광의 「차이소경」 속에는 풍부하고 기묘한 환상과 뜨거운 열정 그리고 애절한 원망과 동경이 섞여 있다. 이 글 속에는 중국 남방의 초사에 나타나는 미의식인 슬픔과 정열의 상상력이 넘쳐난다.
    그 내용은 군주의 덕을 닦고 국체를 높이며, 선비들의 사기(士氣)를 기르고, 옳고 그름을 변별하는 것으로 주장을 삼아 근본을 장구하게 할 계책에 정성을 드리운 진실로 성대하게 인의(仁義)를 말한 것이었다. 그 작품은 기운이 굳세고 변화가 노련해서 천착하거나 기교를 부리는 모습이 없으니, 나라가 성대한 시기의 언어와 문장이 쇠퇴한 말세와 절로 구별됨을 볼 수 있다.
    만약에 심언광이 없었다면 「차이소경」과 같은 위대한 작품은 없었다. 그의 놀라운 문학적 재능이 바람처럼 휘날리고 그의 장쾌하고 호방한 뉘우침과 비탄의 기개는 가을하늘 구름처럼 높이 흘러간다. 초나라가 아닌 우리 국토산하 위에 끝없이 펼쳐지는 참회와 원망의 방대한 비유와 상징 속에 그가 토해내는 정리는 너무나 슬프고 고통스러웠다. 굴원의 「이소」 위에 펼치는 기막힌 형식과 구상, 그리고 그 정치한 당대 현실을 반영한 리얼리즘의 정수, 373구 2,400여 자의 거대한 장편 곳곳에 넘쳐나는 저 아름다운 표현은 조선 선비의 잘못을 뉘우치는 또 다른 한편의 「이소」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s of Cho-sa(楚辭), as referenced by Eochon(漁村) Sim Eon-gwang(沈彦光, 1487-1540) in his poem “Cha-IsoKyung(次離騷經).” Sim Eon-gwang was born into a family of hereditary literary officials and was raised with literary education before rising to fame as a poet.
    He lived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of Joseon. He was once a young bureaucratic writer who was dismissed for a moment’s mistake when he joined hands with the ruling forces to impeach the loyalists of the royal court and covet power.
    Eochon Sim Eon-gwang’s poem “Cha-IsoKyung” was modeled on “Iso(離騷)” of Ch’ü Yüan(屈原) and is a penitent piece of writing in which he sincerely regrets the injustices of the era and the mistakes of the court.
    This work combines rich and strange fantasies, hot passion, and mournful resentment and longing. The poem evokes a sense of passion and melancholy, an aesthetic sense that is characteristic of Chosa in southern China.
    The content was a truly grand definition of a plan to cultivate the virtues of a monarch, enhance national prestige, develop the spirit of bureaucrats, and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As the work is strong and has experienced change, it is not seen as vulgar or skillful. Evidently, the language and writing of the country’s great period are distinguished from the declining end and the weakening temple.
    Were it not for Eochon Sim Eon-gwang, there would be no great work like this. The amazing literary talent of Eochon flutters like the wind, and his cheerful and generous repentance and spirit of grief flow high like clouds in the autumn sky. The arrangement that he created was extremely painful and just, covering a vast metaphor, which was a symbol of penance and resentment that stretched endlessly over the Korean territory, not just the Cho Dynasty. That beautiful expression overflowing throughout the 373-gu, 2,400-character giant feature-the amazing form and idea of Ch’ü Yüan’s Iso, reflecting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was another “Iso” that repented the mistakes of our great Joseon schol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민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