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빈보가미(びんぼうがみ)’ 설화 속 가난의 문제와 원형적 대응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Problem of Poverty Implied in Japanese Folklore Binbogami)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일본 ‘빈보가미(びんぼうがみ)’ 설화 속 가난의 문제와 원형적 대응 방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화와 번역 / 42호 / 329 ~ 351페이지
    · 저자명 : 조홍윤

    초록

    이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진 적이 없는 일본의 빈보가미 설화를 대상으로 그 서사적 함의를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야기 속에서 가난의 신으로 전해지는 빈보가미는, 인간의 삶에 커다란 장애 요소로 여겨지는 가난의 문제에 대하여 설화 향유자들이 지닌 원형적 문제의식을 응축한 형상이라고 할 수 있다. 재미있는 점은 설화 속 빈보가미가 매우 인간화된 모습으로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는 이 설화의 향유자들이 인식하는 가난이 우리의 삶에 운명처럼 주어지는 인간관계의 대상과 마찬가지의 결을 지님을 뜻한다. 원하지 않아도 주어지는 인간관계의 대상에 대하여 그를 부정하고 거부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며 그와 어떻게 관계 맺는가가 주요하듯, 운명처럼 주어지는 가난과의 관계에서도 그것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주요하다는 인식이 거기 있다. 서사를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 대응 방식의 핵심은 ‘공생 원리의 내면화’이다. 서로가 서로의 필요를 돌아보고 연대하는 공생적 관계 맺음이, 가난이 곧 복으로 화하는 설화적 구복 원리의 기반임을 빈보가미 설화는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더하여 빈보가미 설화는 가난해도 괜찮다는 소중한 삶의 진실을 되새기게 한다. 가난이 곧 불행이 아니며 가난 속에서도 삶의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평범하지만 흔히 잊혀지고 마는 그 진실을 서사의 전면에 드러내어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rrative implications of Japanese Binbogami stories that have not yet been fully addressed in Korea. Binbogami, handed down as the god of poverty in the story, can be said to be a condensed image of the archetyp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who enjoy the story about the problem of poverty, which is considered a great obstacle to human lif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Binbogami appears in a very humanized form in the stories. This means that the poverty perceived by those who enjoy this tale has the same texture as the object of human relationships that are given to our lives as fate. There is a recognition that it is not good to deny and reject the object of a human relationship given to him even if he doesn't want it, and just as how he relates to him is important, how he responds to it is important in a relationship with poverty that is given as fate. The core of the response method concretely revealed through the narrative is intern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symbiosis. The folklore of Binbogami emphasize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ymbiotic relationship where they look back on each other's needs and solidarity is the basis of the story's principle of salvation, which turns poverty into blessing. In addition, the folklore of Binbogami reminds us of the precious truth of life that it is okay to be poor. The plain but often forgotten truth that poverty is not unhappiness and that happiness can be found in poverty is revealed to the fore of the narra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화와 번역”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