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주작가 임충섭의 예술에 내재한 한국전통건축의 미의식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Embedded in the Work of Immigrant Artist Choong Sup Li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5.02
27P 미리보기
이주작가 임충섭의 예술에 내재한 한국전통건축의 미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74권 / 104 ~ 130페이지
    · 저자명 : 심현섭, 이필

    초록

    본 논문은 1941년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1973년 뉴욕으로 이주한 임충섭의 작업에 내재한 한국전통건축의 미의식을 탐구한다. 임충섭은 회화, 부조, 아상블라주,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향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고 재구성해 왔으며, 특히 그의 설치작업에서 한국의 건축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고향은 그에게 상실과 부재의 공간인 동시에 존재의 근원을 이루는 장소로, 그의 예술철학과 개념은 어린 시절 고향의 경험과 기억에서 출발한다. Ⅱ장에서는 임충섭의 고향에 대한 기억이 건축적 요소를 통해 어떻게 물질적으로 형상화되는지를 철학적 논의를 통해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임충섭의 설치작업을 중심으로 한국전통건축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구체적인 작품에 적용해 살펴본다. 한국 마당의 여백에서 드러나는 공간미, 담장과 문의 개폐가 반복적으로 생성하는 시청각적 리듬, 창호와 문을 매개하는 은근한 빛, 그리고 한국 전통 건축의 지붕과 뉴욕 빌딩의 대조적 경험에서 생성한 수평과 수직의 다원적 사고를 논의한다. 임충섭의 사유와 예술은 이주작가로서 동서양 전통 미학의 상이함과 유사함을 어우르며 이질적인 문화가 교차하는 작가의 정체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의 작업에 내재한 동서양 사상과 미학을 융합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the works of Lim Chung-sup, born in 1941 in Jincheon, Chungbuk, and who moved to New York in 1973. Lim evokes and reconstructs memories of his hometown through diverse media, including painting, relief, assemblage, and installation. His installations prominently feature architectural elements rooted in Korean traditions. For Lim, his hometown symbolizes both a space of loss and absence and the foundation of his existence, deeply influencing his artistic philosophy and concepts. Chapter Ⅱ explores how Lim’s memories are materially expressed through architectural elements, drawing on philosophical discourse. Chapter Ⅲ analyzes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features in his installations, focusing on the spatial aesthetics of the courtyard’s void, the rhythmic interplay of opening and closing walls and gates, the subtle light through traditional windows and doors, and the interplay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bserved in the contrast between traditional Korean roofs and New York skyscrapers. Lim’s art embodies the hybrid identity of an immigrant artist and reflecting the intersection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Accordingly, this study interprets his work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highlighting his ability to merge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and aesthe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