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국적 미취득 미얀마 난민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thnic Identity of Myanmar Refugees who have not Acquired Korean Citizenship)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05
28P 미리보기
한국 국적 미취득 미얀마 난민의 민족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12권 / 3호 / 227 ~ 254페이지
    · 저자명 : 어경준

    초록

    본 연구는 미얀마 민주화 운동 참여한 이후 한국으로 이주하여 난민으로 인정받은한국 국적 미취득 미얀마 난민의 민족정체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모국 미얀마를 벗어나고자 했던 난민이주의 배경은 어떤 이유였으며, 난민 인정자로 사는 삶이 모국을 떠난 것에 반하여 어떠한 변화와 경험을 하였고 이후 난민 인정자의 꿈이 한국 국적 취득이 아니고 왜 모국으로 회귀인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난민 인정자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또 다른 삶에 대해 재조명해보고자 함이다. 미얀마 난민 인정자 4인의 심층 면담을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원하지 않은 이주, 난민으로 안정적인 민주화 투쟁, 안정과 고난의 양면성, 타국에서 끝낼 수 없는 미래, 자력에 의한 민주화 투쟁과 모국 지원, 모국의 국제적 관심, 꿈을 버리지 않는 모국 회귀로 나타났다. 난민의최우선 목적은 안정적인 삶을 위하여 난민 신청국에서 난민 인정을 받고 국적 취득을함으로써 자신들의 미래와 삶의 새로운 토대가 되어 살아가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들의 삶은 모국의 민주화를 위해 투쟁하고 안정되는 날 돌아간다는 의미는무릇 다른 난민 인정자들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난민 인정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모국의 정치, 종교, 민족이라는 거시적 행보보다는 모국의 군부독재를밀어내고 오로지 민주화를 이룬 모국으로 돌아갈 날을 기약하며 살고 있다. 둘째, 오랜난민 인정 생활을 하면서도 안정적인 국적 취득을 하지 않고 있다. 셋째, 난민으로서거주국에 꼭 살아야 한다는 것이 아닌 언젠가는 다시 모국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모국회귀라는 신념이다. 난민들이라고 해서 우리에게 필요하지 않은 존재이고 피해를 준다는 단편적인 생각에 우려를 가지게 된다. 이들의 꿈과 희망을 버리지 않고 모국으로 돌아가겠다며 살아가는 난민들에 대해 모국의 가족과 친구들을 다시 재회할 수 있도록현재의 난민 인정제도 안에서만이라도 깊은 이해와 배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ethnic identity of Myanmar refugees who have not acquired Korean citizenship and have been recognized as refugees after moving to Korea due the participating in the Myanmar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research had explored the background of refugee migration to escape their mother country Myanmar, what kind of changes and experiences do they have as a recognized refugee go against leaving the mother country, and why the dream of a recognized refugee was not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but to return to the mother country. It is to shed new light on a broader understanding of recognized refugees and a different lif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recognized refugees from Myanm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see unwanted migration, stable struggle for democratization as a refugee, both sides of stability and hardship, a future that cannot be ended in a foreign country, struggle for democratization by one's own efforts, support for the motherland international interest, in the motherlandand returning to the motherland without abandoning the dream. It is also the reason why refugees must set their life for future by obtaining refugee recognition in the refugee application country and acquiring nationality for a stable life. However, their lives are different from all other recognized refugees in that they fight for democratization of their home country and return to the day when it becomes stable.
    The results, first, participants in refugee recognition are living in anticipation of the day when they will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which has achieved democratization by pushing out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their home country, rather than taking macro steps such as their home country's politics, religion, and ethnicity. Second, even though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refugees for a long time, they have not acquired a stable nationality. Third, is the belief that homecoming means that one day as a refugee, a person must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not necessarily living in their country of residence.
    We should not concern idea that we do not need refugees and cause damage to refugees. For refugees who do not give up their dreams and hopes and live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 we must provide as deep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s possible within the current refugee recognition system so that they can reunite with their families and friends in their mother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